中企 부실 직격탄에…지방은행 실적 '폭삭'

6 hours ago 1

BNK 1년새 33%↓, JB 금융도 6%감소
부산銀 고정이하여신비율 1% 넘겨
지역 中企대출 많은 지방은행 직격탄
3개월간 상각한 부산銀 기업채권만 1000억대
당국 “손실흡수능력·리스크관리 체계 점검”

  • 등록 2025-04-28 오후 6:35:08

    수정 2025-04-28 오후 7:07:01

[이데일리 김나경 기자] 올 1분기 역대 최대실적을 갈아치우며 5조원 가까운 당기순이익을 낸 4대 금융그룹과 달리 지방금융그룹 실적은 오히려 뒷걸음쳤다. 핵심 계열사인 은행 실적이 부진한 영향이다. 특히 은행의 건전성 지표가 올 1분기 급격하게 나빠졌다. 지역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높은 지방은행이 지역경기 악화 영향을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BNK부산은행이 상각(회계상 손실처리)한 기업채권이 1년 전보다 10배 수준으로 급등하는 등 지방은행 연체율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1분기 BNK금융 당기순이익은 1666억원으로 1년 새 33.2% 감소했다. JB금융 실적은 1628억원으로 1년 전보다 6.0% 줄었다.

금융그룹 실적 희비는 핵심 계열사인 은행 실적에서 엇갈렸다. 지역경기 부진으로 실적·건전성 모두 놓쳤다. 지방은행 중 자산 규모가 가장 큰 부산은행 당기순이익이 1년 새 31.6% 급감한 856억원을 기록했다. 경남은행이 31.4% 하락한 694억원을, 광주은행(670억원)·전북은행(515억원)은 각각 8.6%, 8.7% 감소했다. 문제는 지방은행의 실적뿐 아니라 대출 건전성이 급격하게 나빠지고 있다. 3개월 이하 연체채권인 고정이하여신이 총 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등했다. 부산은행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 1분기 0.44%에서 올 1분기 1.10%로 뛰었다.

지난해 말(0.88%)과 비교해도 0.22%포인트 올랐다.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6890억원으로 1년 만에 156억원 늘었다. 경남은행 또한 고정이하여신이 1년 만에 848억원 늘어난 3478억원으로 늘고,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46%에서 0.82%로 상승했다. 이런 상황에 BNK금융그룹 전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지난해 1분기 0.85%에서 올 1분기 1.69%로 두 배 수준으로 뛰었다. JB금융의 사정도 다르지 않다. JB금융 전체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19%로 역시 1%를 넘겼다.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이 같은 상승세를 타면서도 기울기에 차이가 나는 건 기업대출 때문이다. 전북은행의 기업대출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23%로 1%를 넘겼고, 광주은행 한 분기 만에 기업대출 고정이하여신비율이 0.42%에서 0.78%로 상승했다. 지방 중소기업 의무대출 비중을 지켜야 하는 지방은행은 경기 악화로 중소기업의 대출 상환능력이 나빠지면 건전성에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지방은행은 적극적인 상·매각으로 부실채권을 털어내고 있는데도 건전성이 더 나빠지고 있는 게 더 큰 문제다. 부산은행은 올 1분기 상각한 1168억원 중 1004억원이 기업대출 채권이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상각한 규모(111억원)의 10배에 달한다. 가계대출 채권 상각 규모가 73억원에서 137억원으로 약 두 배 수준으로 오른 것을 고려하면 기업대출 부실채권 발생 속도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경남은행 또한 1분기 상각한 403억원 채권 중 절반(214억) 이상이 기업대출 채권이었다. 이런 상황에 기업대출 충당금을 늘리며 미래 손실에 대비하고 있지만 지방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한 실적·건전성 개선은 어려울 전망이다.

금감원에서도 지방은행들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당부하는 동시에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금감원은 이달 30일 최종 종료 예정인 BNK금융 정기검사에서 대출 건전성,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 리스크 관리체계 등을 중점 살펴봤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방경제가 상당히 안 좋아서 은행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관리하고 있는지, 어떻게 관리체계를 갖추고 정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며 “동시에 은행의 자금중개 기능이 위축되지는 않는지 주안점을 두고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금감원에서는 BNK, JB금융그룹의 자본비율이 12~13%대인 점을 고려할 때 ‘아주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 당국으로서도 지방은행 딜레마를 고려해 지원책도 서두르고 있다. 지금껏 지방은행이 건의해온 중소기업 의무대출 비율 규제 완화, 지방 이전 공공기관 주거래은행 선정 시 우선권, 지역신용보증재단 출연과 보증대출 활성화를 통한 리스크 관리 등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경영실태평가에서도 조금 완화해줄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며 “지역별로 계속해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