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달면 돈 준다더니, 오히려 700만원 잃었다…신종 사기 수법 알아보니

3 week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부업·아르바이트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고 경고하며 관련 사례를 공개했다.

피해자들은 ‘팀 미션’이나 고액 미션 참여를 유도받아 금전을 착취당하는 방식으로, 올해 1분기 시정 요구 건수가 지난해보다 81% 증가한 67건에 달했다.

방심위는 의심스러운 광고나 미션을 접할 경우 신중하게 행동하고, 사기 의심 시 즉시 신고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사진출처=연합뉴스]

최근 광고를 보거나 댓글·후기를 달면 돈을 준다며 유혹한 뒤 돈을 뜯어내는 ‘부업·아르바이트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13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부업·아르바이트 사기’ 사례를 공개하고 주의를 당부했다.

부업·아르바이트 사기는 ‘팀 미션’이라는 투자 등을 가장한 활동을 시킨 뒤 피해자의 실수를 유도하거나 ‘고액 미션’ 참여비·수수료 명목으로 돈을 뜯어내는 특징을 가진다.

방심위가 올해 1분기 시정을 요구한 관련 인터넷 사기 정보는 전년동기대비 81%가 증가한 67건이다.

피의자 A씨는 지난 3월 틱톡에서 부업·아르바이트 광고 글을 연락한 피해자에게 특정 대화형 앱을 설치하게 한 후 단체 채팅방에서 ‘팀 미션’이라는 투자를 가장한 행위를 시켰다.

이후 피해자의 실수로 미션 수익금을 받을 수 없게 됐다고 속이고 고액 미션 참여 명목으로 3회에 걸쳐 750여만원을 뜯어냈다.

다른 피의자 B씨는 지난해 12월 인스타그램에서 부업·아르바이트 광고를 보고 연락한 피해자에게 “유튜브에서 특정 광고를 5초 이상 보고 캡처 사진을 보내주면 건당 1000원을 지급한다”고 유혹했다.

이를 따르자 이번엔 돈을 받으려면 고수익 미션에 참여해야 한다고 유인해 포인트 충전을 빌미로 570여만원을 받아냈다.

방심위는 미션을 가장한 동영상·광고 시청, 댓글이나 후기 작성 등을 가장한 부업·아르바이트 광고를 일단 의심하고 앱이나 사이트 가입을 유도하면 공인된 실명인증이 있는지 먼저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가입 유도자가 ‘특정 코드’를 입력해야 회원가입이 된다는 조건을 내걸면 즉시 이용을 중단하고 사기가 의심될 경우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할 것을 강조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