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만 믿었다가 피봤다”...720조원 날아간 트럼프의 밈코인들

6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이 급락하며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에서 큰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알트코인은 비트코인보다 더 큰 낙폭을 기록했으며, 트럼프의 밈코인 논란이 시장 혼란을 가중시켰다.

반면, 위험 회피 심리로 인해 스테이블코인은 시가총액이 증가하며 상대적으로 안전한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최고가 찍고 하락
직접 밈코인 발행해 논란도

[사진 = 픽사베이]

[사진 = 픽사베이]

‘크립토 대통령’을 자처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하자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은 되레 움츠러들었다.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를 찍은 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급락했고, 알트코인 시장은 더 큰 낙폭을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띄운 밈코인 논란도 이어졌다. 다만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은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혔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이 열린 지난 1월 20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3조5300억달러에 달했다. 그러나 취임 100일을 목전에 둔 이달 28일 약 3조287억달러로 14.20%가량 증발했다.

가상화폐 대장 격인 비트코인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하루 앞두고 지난 1월 19일 10만2500달러에서 단숨에 10만9191달러까지 치솟으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하지만 취임 직후 10만600달러대로 내려앉았고, 한동안 9만달러대 초반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지난 3월 7일에는 기대를 모았던 백악관 크립토 정상회담에서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하지 않겠다고 밝히자 시장이 즉각 얼어붙었다.

미국 연합정부 차원의 추가 비축 기대감에 9만5000달러 선까지 올랐던 비트코인은 회담 직후 8만6000달러 선까지 떨어졌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압박 수위를 높이자 7만6873달러까지 밀리며 최고가 대비 27% 급락했다. 최근 들어서는 9만3000~9만4000달러 선에서 횡보세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설명

알트코인은 비트코인보다 낙폭이 더 컸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1월 20일) 대비 25일 기준 이더리움은 44% 하락했다. 솔라나는 40% 빠졌고 리플(XRP)과 도지코인은 각각 23%, 49% 하락했다. 같은 기간 비트코인은 7.29% 하락에 그쳤다.

특히 밈코인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논란의 당사자로 등장하며 시장 혼란을 부추겼다. 그는 취임 직전 공식 밈코인인 ‘오피셜 트럼프’를 출시했다. 이틀 만에 44달러대까지 급등했으나 10여 일 만에 20달러 밑으로 곤두박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장 개입 논란에도 굴하지 않고 지난 24일에는 오피셜 트럼프 상위 보유자 220명을 백악관 오찬에 초대하겠다고 밝혀 논란을 키웠다. 소식이 알려지자 오피셜 트럼프 가격은 하루 새 60% 가까이 폭등했다가 이내 상승분을 반납하고 14달러대로 주저앉았다.

반면 위험 회피 심리가 강해지며 테더(USDT), 서클(USDC) 등 스테이블코인은 시가총액을 트럼프 취임일 1317억달러에서 현재 2419억달러 규모로 덩치를 키웠다. 미국 정부 차원에서도 규제 완화 기조를 분명히 하며 달러 기반 스테테이블코인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발행사들이 주로 미국 국채를 담보로 사용해 미국 정부 입장에서도 유용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이 구체화하기 전까지 변동성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홍성욱 NH투자증권 책임연구원은 “가상자산 시장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하락한 건 시장의 기대감이 높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홍 연구원은 “비트코인은 상대적으로 견고해 그 외 알트코인과 차이를 뚜렷히 드러냈다”며 “아직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직접 매입하지는 않지만 주정부 차원의 움직임도 있고 보유자 기반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례로 비트코인 비축 논의가 활발한 텍사스주의 국내총생산(GDP)이 한국 GDP보다 크다”고 부연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