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막아도 오를 곳은 올랐다…7월 서울 아파트 신고가 비중 23.6%, 3년만 최고

1 day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7월 서울 아파트 매매에서 신고가 거래 비중이 23.6%로 증가하여 6월의 22.9%를 넘어섰고, 이는 2022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다.

거래량은 3946건으로 전 달에 비해 36% 감소했지만, 고소득층 중심의 수요로 인해 특정 지역에서 신고가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직방은 고가 주택과 중저가 주택 간 양극화가 두드러지며, 고가 아파트는 신고가를 경신하는 반면 중저가 아파트 시장은 위축되고 있다고 전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신고가 거래 비중이 6월을 넘어섰다.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 총 3946건의 거래 중 932건이 신고가로 집계돼 전체의 23.6%를 차지했다.

이는 이른바 ‘불장’이라 불렸던 지난 6월(22.9%)보다 높으며, 2022년 7월(27.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6·27 대책으로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 소유권 이전 전 전세대출 금지 등 강도 높은 규제가 시행되면서 7월 거래량(3946건)은 6월(1만 935건)의 36% 수준으로 줄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의 경우 허가 절차를 거쳐 계약서를 쓰는 거래가 포함되면서 집계에 반영된 영향도 있었다.

거래량이 전반적으로 급감했음에도 일부 거래는 여전히 가격 강세를 유지하며 신고가를 경신한 점이 눈에 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12억원 초과~20억원 미만 대의 경우 맞벌이 고소득층 등이나 갈아타기 수요 등 자산 여력이 있는 수요자들이 여전히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며 성북구, 동작구, 성동구, 마포구 위주로 신고가 갱신이 발생했다.

30억원 초과 구간도 전체 거래의 20%를 차지했다. 핵심 입지의 희소성과 상징성, 제한적인 신규 공급, 불안정한 대체 투자처 등이 맞물려 규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채 매수세가 이어졌다.

반면 9억원 이하의 구간은 전체의 18%에 그치며 신고가 비중이 다소 낮았다. 대출규제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는 가격대인만큼 거래가 위축되고 매수자와 매도자간 가격 간극으로 인해 신고가 갱신보다는 조정 거래가 더 많이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사진설명

자치구별로는 서초구 61.5%, 용산구 59.5% 강남구 51.6%가 전체 거래의 절반 이상이 신고가로 거래됐다.

6·27 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제를 거쳐 체결된 계약들이 7월 통계에 반영되면서 강남권을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 비중이 한층 더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서초구는 총 192건의 매매 거래 중 118건이 신고가로 거래됐고 가격대별로는 30억원 초과 구간이 44%(52건)로 가장 높았다. 동별로는 서초동(40건), 잠원동(22건), 방배동(22건), 반포동(17건) 등 순으로 높았다.

용산구도 중대형 구축 위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졌다. 총 111건 거래 중 66건이 신고가로 거래됐다. 강남구는 신축 단지 위주로 신고가 거래 비중이 높았다.

그 외 광진구 38.2%, 송파구 36.8% 양천구 35.8%, 마포구 34.2%, 종로구 32.1%, 동작구 31.1% 등 강남권 이외 도심권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졌다.

반면 중랑구(4.3%), 구로구(3.6%), 성북구(3.6%), 노원구(3.2%), 도봉구(3.1%)는 신고가 거래 비중이 다소 낮아 지역별 온도차가 뚜렷했다.

이는 자금 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저가 실수요자들의 대출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규제 이후 거래 위축과 가격 조정으로 이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직방 측은 “6·27 대책이 발표된 지 두 달이 지난 현재, 서울 아파트 시장은 고가 주택과 중저가 주택 간 양극화가 뚜렷하다”면서 “강남·용산 등 고가 아파트는 여전히 신고가를 경신하며 수요가 이어지는 반면 중저가 단지에서는 거래가 위축돼 시장의 온도 차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