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기 꼴찌→50일 만에 '러너스 하이'...나이키 '애프터 다크 투어'가 남긴 것

4 hours ago 2

1967년 영국의 보스턴 마라톤 현장, 달리는 사람들 중 한 사람을 누군가 끌어내려 한다. 그 이유는 바로 ‘여성’이기 때문. 가장 오래된 마라톤 대회인 보스턴 마라톤은 그 당시 여성의 마라톤 출전을 허용하지 않았다. 여성은 장거리를 완주할 정도의 체력이 되지 않는다는 까닭에서였다.

1967년 여성은 출전할 수 없었던 보스턴 마라톤에 참여한 20살의 캐서린 스위처(Kathrine Switzer)가 조직위원에게 발각돼 제지를 당하고 있다. 하지만 함께 뛰던 러너의 도움으로 완주를 마칠 수 있었다. /ⓒ Boston Herald

1967년 여성은 출전할 수 없었던 보스턴 마라톤에 참여한 20살의 캐서린 스위처(Kathrine Switzer)가 조직위원에게 발각돼 제지를 당하고 있다. 하지만 함께 뛰던 러너의 도움으로 완주를 마칠 수 있었다. /ⓒ Boston Herald

이에 당시 시러큐스 대학교에서 저널리즘을 공부하던 20살의 캐서린 스위처(Kathrine Switzer)는 K. V. Switzer라는 가명으로 등록해 참여했다 조직위원의 제지를 받게 된다. 그러나 캐서린은 멈추지 않았고, 동료 러너와 친구들의 도움으로 완주를 마친다. 이날의 충돌 현장은 보스턴 헤럴드 사진기자에 의해 촬영돼 타임-라이프(Time-Life)의 '세상을 바꾼 100장의 사진' 중 하나로 선정됐다. 여성 스포츠 역사의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그 이후에도 여성의 공식적인 마라톤 참여에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보스턴 마라톤 조직위는 규정을 강화해 여전히 여성이 참여할 수 없었으며, 1972년에야 여성의 출전을 공식적으로 허용했다. 1984년 LA 올림픽에서야 여성 마라톤이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다.

달리기 꼴찌→50일 만에 '러너스 하이'...나이키 '애프터 다크 투어'가 남긴 것

그날의 캐서린은 알았을까. 훗날 지구 반대편에서 7000명의 여성이 함께 뛰는 날이 오리라고.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일대가 여성 러너들의 에너지로 가득했다. 소나기가 온 후 안개로 뒤덮인 날씨에도 불구하고 ‘나이키 애프터 다크 투어 서울 10K’ 행사에 참여한 여성들이 뿜어내는 열기는 점점 더 고조됐다.

나이키 애프터 다크 투어는 호주 시드니, 중국 상하이, 대한민국 서울, 인도 뭄바이, 영국 런던, 미국 로스앤젤레스, 멕시코 멕시코시티 등 7개국 주요 도시에서 해가 질 무렵 시작되는 여성을 위한 레이스다. 네 번째 순서로 행사를 개최한 한국은 서울 여의도공원을 시작으로 국회의사당, 서강대교를 돌아 10km를 완주하는 코스로 대회를 진행했다.

티파니 마라톤부터 애프터 다크 투어까지
나이키는 꽤 오래 전부터 여성을 위한 레이스를 진행해 왔다. 특히 2004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한 나이키 우먼스 하프 마라톤은 메달 대신 티파니 목걸이를 제공해 ‘티파니 마라톤’으로 불리며 전 세계 여성 러너들의 워너비로 꼽혔다. 피니시 라인에 턱시도를 차려입은 남성 소방관들이 파란색 티파니 박스를 들고 완주한 러너를 반겨주는 특별한 퍼포먼스가 인기에 한 몫을 더했다. 이외에도 각 도시마다 명칭과 레이스의 형태는 달랐지만, 나이키가 주최하는 여성 러너 행사는 공통된 가치를 공유했다. 바로 ‘러닝의 즐거움’과 ‘불가능해 보이는 것에 대한 도전’이다.

달리기 꼴찌→50일 만에 '러너스 하이'...나이키 '애프터 다크 투어'가 남긴 것

3월 13일 처음으로 만나 함께 달린 나이키 미디어 트레이닝 클럽 러닝 크루. /강은영 기자

3월 13일 처음으로 만나 함께 달린 나이키 미디어 트레이닝 클럽 러닝 크루. /강은영 기자

이번 나이키 애프터 다크 투어 서울 행사가 시작되기 두 달 전부터 나이키는 20여 개 매체 기자를 대상으로 ‘나이키 미디어 런 트레이닝 클럽’이라는 러닝 크루를 조직했다. 일주일에 한 번씩 육상 국가대표 임경희 선수, 나이키 러닝 트레이너 이장섭 코치와 함께 달리며 집중 트레이닝 훈련을 제공하고, 본인 스스로 자세 회복을 할 수 있도록 돕는 SNPE(Self Nature Posture Exercise) 운동과 진동하는 받침대 위에서 근력 훈련을 진행하는 파워 플레이트 운동 등 달리는데 필요한 근육을 단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운동을 진행했다. 달리기는커녕 걷기도 좋아하지 않는 기자도 이 크루의 일원으로 참여해 3월 13일부터 5월 10일까지 59일간의 여정을 함께 했다.

마라톤을 떠올릴 때 가장 먼저 떠오른 이미지는 ‘나 자신과의 싸움’이었다. 황영조, 이봉주 같은 마른 체형에 단단한 근육을 지닌 전설적인 선수들의 전유물처럼 비쳐진 마라톤은 엄숙하고 진지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리라는 막연한 생각이 뇌리에 박혀 있었다. 뛰어보니 달랐다. 함께 달리는 순간이 곧 축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실감했다. 그간의 일대기와 마라톤 당일의 생생한 감정들을 나누고자 한다.

밴드가 즉석에서 연주를 선보이고, 러너들이 환호하며 뛰기 시작하는 출발 지점의 분위기는 축제가 따로 없다. /강은영 기자

밴드가 즉석에서 연주를 선보이고, 러너들이 환호하며 뛰기 시작하는 출발 지점의 분위기는 축제가 따로 없다. /강은영 기자

가장 늦은 주자에게 가장 큰 응원을
세션 첫날부터 꼴찌를 했다. 그런데 일찌감치 도착한 크루들이 환호와 함께 손을 번쩍 들어 하이파이브를 한다. 러너들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형성된 문화가 몇 가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마지막에 들어오는 사람을 반겨주는 것이다. ‘뭘 잘했다고 이렇게 격려를 해 주나’ 머쓱하고 염치까지 없는데, 메이저 대회에서도 마지막 주자가 들어올 때 관중과 자원봉사자들이 기립박수와 하이파이브로 격려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고개를 끄덕였다. 가장 늦게 들어오는 주자에게 가장 큰 응원이 쏟아진다. 기록보다 완주가 중요한 마라톤의 가치를 느낄 수 있었다.

실제로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가 경기장이 되는 시티 마라톤의 특성상,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활한 교통을 위해 경기 경로를 우회하거나 피니시 라인을 변경하기도 한다. 뒤늦게 들어오는 러너들을 인도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역할을 부여받은 이들도 있다. 테일워커(Tail Walker)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들은 조금 뒤쳐져도 완주를 위해 끝까지 달리는 이들을 지원한다.

“경주가 아니니 빨리 가지 않아도 돼요. 늦어도 괜찮으니 완주를 목표로 달려봅시다.” 실제로 훈련 내내 가장 많이 들은 말이다. 이 말을 들으면서 달리다 보니 마치 거대한 벽처럼 느껴졌던 10km라는 거리가 점차 별것 아닌 것처럼 느껴지기 시작했다.

달리기 꼴찌→50일 만에 '러너스 하이'...나이키 '애프터 다크 투어'가 남긴 것

나를 제외한 모든 것이 흑백이 된 ‘러너스 하이’의 순간
그래도 자꾸 의심이 생겼다. 내가 진짜로 할 수 있을까. 크루들이 모인 단체카톡방에는 일주일에 8km를 두 번 뛰고 인증을 하라는데, 도저히 한 번에 저 긴 거리를 뛰지 못할 것 같아 나름의 훈련 계획을 세웠다. 이전에 뛰었던 거리보다 무조건 100m라도 더 뛰는 것이 목표. 3km부터 시작해 거리를 점차 늘려갔다. 금방이라도 주저앉고 싶었지만, 뛸수록 오기가 들고 욕심이 생겨 대회 전까지 최대 6.72km까지 달려봤다. 더 장거리를 달려보지 못해 불안이 앞섰지만 훈련의 성과를 경험하며 용기를 얻었다.

달리기 꼴찌→50일 만에 '러너스 하이'...나이키 '애프터 다크 투어'가 남긴 것

대회를 일주일 앞둔 트레이닝 세션에서 처음으로 1등을 했다. 평소 페이스에 따라 그룹을 나누긴 했지만 처음 경험한 1등은 이루 말할 것 없이 짜릿했다. 400m 트랙을 네 바퀴, 총 1.6km 뛰는 훈련이었는데, 두 바퀴까지는 평소 페이스대로 마지막 주자로 뛰다가 세 바퀴 때부터 모든 힘을 쥐어짰다. 달릴 때는 힘들어서 주위 환경이 전혀 의식되지 않았는데 내 앞에 있던 크루들을 모두 제치고 달려나가는 나를 보던 이장섭 코치의 놀란 표정은 생생하다.

이미 그 전에 3km를 뛰었던 터라 숨이 턱끝까지 차올랐지만, 멈추지 않았다. 나를 제외한 모든 것들은 전부 흑백이 되고, 헐떡이는 나만 온 세상의 색을 흡수한 듯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를 경험하는 순간이었다. 뇌에서 분비되는 엔돌핀이 육체의 고통을 잊게 해 마치 하늘 위를 뛴다는 바로 그 기분이었다. 골인 지점에 들어와 기록을 확인할 새도 없이 바닥에 드러누웠다. “오늘 멋있었어요” 집으로 향하는 길에도 코치의 칭찬이 귓가에 맴돌았다.

나름 치열했던 훈련의 나날들과 완주에 성공한 5월 10일 골인 지점에 선 기자의 모습, 그리고 완주 기록. /강은영 기자

나름 치열했던 훈련의 나날들과 완주에 성공한 5월 10일 골인 지점에 선 기자의 모습, 그리고 완주 기록. /강은영 기자

완주보다 포기가 어려웠던 그날의 현장
‘1시간 30분 안에 들어오지 못할 경우, 차량을 타고 이동’ 5월 10일 디데이, 59일간의 여정에 마침표를 찍는 날 듣게 된 소식에 굳은 의지가 샘솟았다. 자동차만은 절대 타지 않으리라. 나이키런클럽 앱은 그동안의 훈련 데이터를 바탕으로, 내 10km 예상 기록을 1시간 17분으로 예측했다. 첫 마라톤이라는 점을 감안해 스스로의 목표를 ‘1시간 20분 안에 완주’로 설정했다.

달리기 꼴찌→50일 만에 '러너스 하이'...나이키 '애프터 다크 투어'가 남긴 것

단단한 각오와 함께 출발 지점 앞에 섰지만, 다른 러너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그들의 표정에는 부담감이나 긴장감 대신 환희와 설렘이 비쳤다. 트럼펫을 연주하는 밴드와 당장 달리고 싶어 발을 동동 구르는 러너들이 어우러진 풍경은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이런 분위기에서는 포기하는 게 훨씬 더 어렵겠다” 달리다 몇 번이고 멈춰 서고 싶었지만 환호하는 이들과 나이키가 준비한 엔터테인먼트를 마주하며 이런 생각을 했다. 절반 지점인 5km 반환점에는 DJ가 연주하며 비눗방울을 날린다. 사물놀이패와 한복 차림의 무용수들은 서강 대교 위에서 부채춤으로 응원을 보낸다. 같은 러닝 크루 혹은 동아리의 러너를 응원하기 위해 나온 사람들, 엄마의 도전을 응원하기 위해 나온 가족들, 지나가다 신기해 구경하는 행인들 등 다양한 이들이 너나할 것 없이 손을 흔들며 완주를 향한 러너들의 도전을 독려했다.

은은한 달빛을 벗삼아 달렸던 3월 13일 첫 날의 기록과 5월 10일 모든 행사가 마무리된 후 만난 달빛. /강은영 기자

은은한 달빛을 벗삼아 달렸던 3월 13일 첫 날의 기록과 5월 10일 모든 행사가 마무리된 후 만난 달빛. /강은영 기자

숨이 정수리까지 차올랐지만 이들 앞에서 멈추기가 싫었다. 중간중간 숨을 고르려 할 때마다 응원꾼들이 나타나 억지로라도 다리를 움직였다. 드디어 피니시 라인이 보인다. 정말 걷고 싶은데 아무도 걷질 않는다. 괴롭지만 뛰었다. 피니시 라인에 도달했다. 기록은 1시간 12분 35초. 목표했던 시간보다 8분이나 앞당겼다. 얼떨떨한 기분도 잠시, 준비할 겨를도 없이 해냈다는 성취감이 나를 파고들었다. 기록을 목표로 달린 것은 아니었지만, 그 성취는 또 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여태껏 경험해본 적 없는 벅차오름과 성취감이 한동안 오래 내 안에 머물렀다.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그리고 러너), 1949~20**, 적어도 끝까지 걷지는 않았다.’

매일 10km를 달리는 열렬한 러너로 알려진 일본의 세계적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자신의 묘비명에 이렇게 써넣고 싶다고 말했다. 이날의 경험이 인생의 든든한 자양분이 되기 바라며 훗날 나도 이렇게 적어볼 수 있기를 바란다.

‘강은영, 기자(그리고 러너), 1992~20**, 그래도 끝까지 멈추지는 않았다.’

강은영 기자 qboom@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