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새마을금고가 3곳 중 2곳(67%)이 적자를 기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대손충당금 적립 비용이 크게 늘어난 탓이다. 서울 금고의 부실채권 규모만 3조2000억원을 넘으며 전국 부실채권 규모의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매일경제가 서울 지역 229개 단위 새마을금고 경영공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54개 금고가 순손실을 냈다. 적자 금고 수는 2023년 82곳에서 2024년 154곳으로 72곳 늘었다.
서울 지역 금고는 2023년만 해도 213억원 흑자를 기록했으나, 지난해 3459억원 적자로 전환했다. 개별적으로는 서울 서대문구의 A금고는 순손실 규모가 404억원에 달했다. 은평구 B금고가 169억원, 동작구 C금고는 124억원을 기록했다. A금고의 경우 작년 분양대금 명목으로 투자한 사업장 한 곳에서 276억원 전액 손실을 기록한 것이 손익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NPL) 규모도 크게 불어났다. 서울 지역 NPL 규모는 지난해 3조2984억원으로 1년 만에 1조3000억원 넘게 늘었다.
경영 부실이 확대되면서 소송전도 벌어지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서울 서대문구 A금고에 대해 동일인 대출한도 초과 대출과 금고자금 불법 사용과 손실 발생에 대해 검찰 고발을 진행해 조사 중이다. 이에 맞서 A금고는 작년 중앙회에 대해 손실 276억원에 대해 법정이자와 함께 배상하라는 취지의 손해배상청구도 진행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금고에선 당시 상황에 대해 중앙회가 추가 자금 집행을 막으면서 손실이 확대됐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부실이 생긴 금고에 대해선 인근 금고와 흡수합병 등을 통해 고객들의 피해를 최대한 막겠다고 밝혔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자체 정상화가 어려운 금고는 합병을 통해 예금자 피해를 최소화하고 회원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