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짓지도 않았는데 70억에 팔렸다"…50억 넘는 곳도 수두룩 [돈앤톡]

1 day ago 3

서울 시내 아파트 공사 현장. 사진=뉴스1

서울 시내 아파트 공사 현장. 사진=뉴스1

올해 서울에서 아파트 분양·입주권 거래가 활발해졌다. 서울 아파트가 '공급 가뭄'에 들어선 상황에서 신축 아파트를 찾는 수요가 이어져서다.

2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거래된 분양·입주권은 모두 5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거래된 254건보다 246건(96.8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분양권은 청약에 당첨돼 신축 아파트에 들어갈 수 있는 권리, 입주권은 재개발·재건축 조합원이 신축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아직 집이 지어지지 않은 상황에서도 거래가 가능하다.

올해 가장 높은 가격에 거래된 분양·입주권은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청담 르엘'이다. 이 단지 전용 111㎡ 입주권은 지난 3월 70억원에 손바뀜했다. 같은 달 전용 84㎡ 입주권은 52억원에 팔렸다. 이 단지는 오는 11월 입주 예정이다.

이는 서초구 반포동 대장 아파트인 '래미안 원베일리' 가격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2021년 6월 분양한 래미안 원베일리는 이듬해부터 입주권 거래가 나오기 시작했다. 2022년 1월 전용 84㎡ 입주권이 42억원에 새 주인을 찾았고, 2023년 10월엔 전용 101㎡ 입주권이 48억원에 거래됐다.

강남구 삼성동 '아크로 삼성'에서도 청담 르엘에 버금가는 가격에 거래가 이뤄졌다. 이 단지 전용 104㎡ 입주권은 지난 2월 70억원에 팔렸다. 이 단지는 1981년도 지어진 홍실아파트를 재건축한 곳이다. 1대 1 재건축으로 지어졌다. 임대주택과 소형주택 없이 모두 전용 92~167㎡ 대형 평형으로 조합원들에게만 배정됐다. 이미 지난 2월 입주했다.

이어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전용 124㎡ 입주권 59억5000만원(3월) △메이플자이 전용 124㎡ 입주권 57억8000만원(2월) △메이플자이 전용 124㎡ 입주권 55억5000만원(3월) △메이플자이 전용 124㎡ 입주권 55억2800만원(2월)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전용 132㎡ 54억5000만원(입주권) 등 아직 지어지지 않은 집인데도 수십억원에 거래가 이뤄졌다.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분양·입주권 거래가 늘어난 것은 서울에서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어서다. 부동산 정보제공 앱(응용 프로그램) 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 공급되는 물량은 4만7424가구다. 서울 적정 수요 4만6659가구를 웃돈다. 문제는 내년부터다. △2026년 4112가구 △2027년 1만306가구 △2028년 3080가구 △2029년 999가구 등 공급이 급감할 전망이다.

서울은 경기도나 인천과 달리 택지지구 등을 통해 나오는 공급 물량이 한정적이다. 재개발·재건축 도시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되는 물량에 의존해야 하는데 기존 조합원들이 있어 일반에 공급되는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리모델링 등 다른 사업 형태가 있긴 하지만 이 역시 공급 물량을 획기적으로 늘리긴 어렵단 얘기다.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 현상도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서울에서 지난해 1월부터 지난 4월까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아파트 연식은 10년 초과 15년 이하 아파트로 8.93%를 기록했다. 이어 5년 이하 아파트가 8.61% 올랐고, 5년 초과 10년 이하 아파트가 7.8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15년 초과 20년 이하는 5.14%, 20년 초과는 5.79%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에 아파트 공급이 줄어들면서 실수요자들이 신축에 대한 선호가 늘면서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정보현 NH투자증권 Tax센터 부동산 연구위원은 "서울 공급 가뭄과 더불어 신축 선호 현상이 분양·입주권 거래 수요를 자극했다"며 "더불어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규제가 이어지면서 사업 진행 속도가 더디고, 실수요자들이 원하는 지역의 청약이 어려워 '차라리 웃돈(프리미엄)을 주고 사자'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분양·입주권 거래가 활발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