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용량은 침팬지 수준인데 ‘매장’까지…역사책에 없던 인류의 정체는?[Book]

22 hour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대 인류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는 진화가 선형적으로 진행되었다고 믿는 것에 있으며, 다양한 종이 동시대에 공존했던 복잡한 진화사를 포함한다.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호모 날레디는 작은 두뇌 용량에도 불구하고 도구 사용과 매장 관습을 보여주어, 인간 고유의 능력에 대한 통념을 뒤흔드는 중요한 발견이다.

이 발견은 '인간다움'의 본질을 재고하게 만들며, 우리가 인간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호모 날레디의 두개골을 든 리 버거 박사. AP연합뉴스

호모 날레디의 두개골을 든 리 버거 박사. AP연합뉴스

고대 인류에 관한 깊은 오해는 진화가 선형적인(linear) 경로를 따라 이뤄졌다는 믿음이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멸종한 뒤 호모 하빌리스가 출현하고, 다시 그가 사라진 자리에 호모 에렉투스가 등장했으며, 이후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가 차례로 지구라는 무대에 올랐다는 식의 사고 말이다.

인류의 진화사는 그러나 이보다 훨씬 복잡하다. 거친 요약이겠지만 수십만 년 전 고대에는 외형과 인지력이 차등화된 다양한 종이 ‘동시대에’ 공존했다. 그들 중 대부분은 각각의 이유로 생존의 막다른 골목에서 무대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오늘날 지구상에 유일하게 생존한 최후의 종이 바로 우리, 호모 사피엔스일 뿐이다.

그러나 2013년 11월. 고인류학계를 뒤흔드는 일대 사건이 벌어진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한 석회암 동굴에서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았던 신인류가 발견된 것이다. 이 발견은 고인류 진화사에 균열을 일으켰고, 전 세계 고인류학자들에게 그야말로 충격을 안겼다. 이름은 ‘호모 날레디(Homo Naledi)’. 그들은 누구였을까.

사진설명

리 버거·존 호크스 지음, 김정아 옮김, 알레 펴냄, 2만2000원

신간 ‘케이브 오브 본즈’는 호노 날레디를 처음 세상에 알리며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이름을 올린 저자의 집요한 기록이다.

지하 30m, 몸 하나 겨우 빠져나갈 수 있는 수직 통로를 지나야만 도달할 수 있는 한 암굴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저자와 연구팀은 이곳에서 뼈와 치아 화석 총 1200여 점을 발견했다. 이전까지만 해도 전 세계에서 발굴된 고인류 화석의 총 개수가 고인류 연구자 전체의 숫자보다 적었기에, 남아공 암굴에서 발견된 뼈는 단숨에 학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그러나 발견된 유골의 머리뼈 크기는 호모 사피엔스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이는 ‘적은 뇌 용량’을 뜻했다. 해부학적 형질 또한 기존의 어떤 인류 화석과도 일치하지 않았다. 결정적인 혼란은 한 아이의 유해 옆에서 발견된 15㎝ 반달형 돌멩이로부터 비롯됐다. 이게 그들이 만들어 쓴 도구인지, 아니면 그냥 굴러다니던 돌멩이인지 판단이 불가능했다.

그 이유는, 이 정도 크기의 뇌를 가진 존재는 도구를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동굴을 탐사하며 결정적 흔적을 발견한다. 자연적인 풍화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인위적인 무늬와 선들이, 유골 위 동굴 벽면에 수십 번 그어져 있었다. “이곳이 죽은 이를 묻은 매장지다”라는 함의를 품은 ‘기호’가 분명했다. 소형 뇌를 가진 호모 날레디가 도구를 사용할 줄 알았으며, 죽은 이를 매장하고, 이 과정에서 협력했음을 뜻하는 강력한 증거였다. 이건 다시 뭘 의미할까.

저자의 발견은 ‘도구 사용은 대형 뇌의 산물’이라는 오랜 통념을 근원적으로 뒤흔든다. 동시에 ‘현재적인 의미에서의 인간이 분명히 아닌’ 호모 날레디가 인간의 고유한 능력을 가졌다면, 호모 사피엔스를 호모 사피엔스로 만들어주는 조건, 즉 ‘인간다움’이란 뭔지를 우리에게 사유케 한다. ‘인간의 고유함이란 과연 인간만의 것일까? 그게 아니라면 도대체 인간이란 뭔가?’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