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HRNK ‘北 권력승계’ 보고서 내놔
딸 존재 처음 알린 로드먼 증언 전해
오빠 없다면 주애 후계자 가능성 높아
24일(현지 시간)미국 비정부기구(NGO) 북한인권위원회(HRNK)는 ‘마지막 후계자? 김주애와 북한의 권력승계’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히며 주애가 김 위원장의 첫째 아이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간 국내외 정보당국과 북한 연구기관에선 김 위원장의 첫째 아이가 아들이고, 주애가 둘째란 분석이 많았다. 주애는 이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절 열병식에 김 위원장과 동행하며 외교 무대에 처음 데뷔하는 등 김 위원장의 후계자로 계속 거론되고 있다.
HRNK는 김 위원장이 주애에게 권력을 넘길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며 보고서에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올 4월 진행한 로드먼과의 인터뷰 내용을 담았다. 당시 로드먼은 ‘2013년 방북에서 아들을 비롯해 다른 아이들을 보았느냐’는 질문에 “다른 가족들이 주변에 있었지만, 어떤 남자아이도 보지 못했다”고 답했다. 또 보고서는 “로드먼은 북한을 4차례 방문하며 김 위원장의 가족과 측근들을 많이 만났지만 아들과 관련된 어떤 흔적도 접하지 못했다고 한다”며 “이런 증언들을 토대로 볼 때 김정은에게 실제로 아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고 했다.
특히 보고서는 “과거 한국 국가정보원은 북한의 남자아이 장난감 수입 증가를 근거로 2010년생 아들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이 내용은 현재 재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2017년 김 위원장에게 2010년생 아들과 2013년생 딸 주애, 2017년 성별 미상의 자녀 등 세 명의 자녀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는데, 이를 수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 것이다.다만, 보고서는 “(주애보다) 더 어린 아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남아있지만, 이와 관련된 정보는 확인된 게 없다”고 전했다.
김성모 기자 mo@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