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주거안정과 지역균형발전, 미래산업 육성, 안전관리를 국토교통 정책의 중심 축으로 제시했다. 부처 전반을 실용 중심으로 재편하겠다는 방향도 밝혔다.
김 후보자는 29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양질의 주택을 충분히 공급해 공급 불안을 해소하고, 주택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도심 유휴부지와 노후 공공시설을 활용해 역세권 등 우수 입지에 공급을 늘리고, 정비사업도 공익과 사익의 조화를 고려하면서 활성화하겠다는 방침이다.
3기 신도시에 대해 김 후보자는 “단계별 지연 요인을 해소해 더욱 속도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청년·신혼부부·고령자 맞춤형 공급 확대와 서민·취약계층 주거비 부담 완화도 함께 언급하며 “주거안전망을 촘촘히 구축하고 주거사다리를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균형발전 문제는 '생존의 문제'로 규정했다. 김 후보자는 “지방은 경기침체와 미분양, 수도권은 집값 급등이라는 양극화 구조가 고착되고 있다”며 “수도권과 지방이 상생할 수 있는 5극 3특 경제생활권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시는 행정수도로 육성하고 공공기관 2차 이전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했다. 전북·강원·제주 등은 지역 자원과 연계한 특화 성장 거점으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교통정책은 연결성과 형평성에 초점을 맞췄다. 그는 “고속철도망과 도로망을 신속히 확충하고, 지역 거점공항도 차질 없이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특별교통수단 확충 등을 통해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소외 지역에 대한 교통서비스 격차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교통비 부담 완화 방안으로는 “K-패스를 고도화하겠다”고 제시했다.
미래산업 전략도 내놨다. 김 후보자는 “자율차와 UAM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산업단지는 RE100과 AI 기반 전략산업의 전초기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전통 기간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그는 “건설·물류 등 기간산업을 고부가가치, 기술집약 산업으로 혁신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반복된 안전사고에 대한 대응 방침도 밝혔다. 김 후보자는 “제주항공 참사, 싱크홀 사고 등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사고가 계속되고 있다”며 “도로·철도·교통·항공·지하안전 등 국토교통 전 분야의 안전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택배·운송·건설 등 현장 근로자들이 과로에 내몰리지 않고,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안전망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