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한동훈, 2년 내 메가폴리스? 시간 감안 안 하면 허구”

7 hours ago 2

정치

김문수 “한동훈, 2년 내 메가폴리스? 시간 감안 안 하면 허구”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후보는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 해결 방안에 대해 TV조선 주관 대선 경선 토론회에서 팽팽한 공방을 벌였다.

김 후보는 한 후보의 '5대 메가폴리스' 공약의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GTX 노선의 완공 지연 문제를 언급했고, 한 후보는 기존 도시의 교통망 확장을 강조했다.

이 두 후보의 경선 최종 승자는 내달 1∼2일 선거인단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통해 결정되며, 최종 후보는 내달 3일 전당대회에서 발표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 2025 대선 레이스 ◆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 결선투표에 진출한 김문수(왼쪽), 한동훈 후보가 30일 서울 중구 TV조선에서 TV토론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 결선투표에 진출한 김문수(왼쪽), 한동훈 후보가 30일 서울 중구 TV조선에서 TV토론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사표를 던진 김문수·한동훈(가나다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을 타개할 방안을 놓고 충돌했다. 김 후보는 특히 한 후보의 ‘5대 메가폴리스’ 공약에 대해 “시간이 소요되는 걸 감안하지 않으면 공약이 허구의 공(空)자가 돼 버린다”고 지적했다.

두 후보는 30일 오후 TV조선 주관으로 개최된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최종 경선 토론회에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와 메가폴리스 공약 등을 놓고 토론했다.

먼저 주도권을 쥔 김 후보는 “서울역에서 삼성역, 그다음에 수서~동탄, 이렇게 해서 전부 연결하는 게 GTX-A 노선”이라며 “나머지 B, C 노선을 제대로 개통하는 데까지 제가 2007년에 제안해서 17년이 걸렸다. 그런데 지금까지 완공이 안 됐다”고 운을 뗐다.

이어 “GTX야말로 세계 최고 수준의 도시 교통 수단이다. 한 후보도 메가폴리스 이야기를 했는데 전국 5개 (메가폴리스) 교통수단을 어떻게 하고자 하는가”라고 물었다.

한 후보는 “김 후보의 공약이 (GTX)를 전국으로 넓히는 것이지 않나”라며 “좋을 것 같기는 한데 그 재원 확보에 대해 이게 가능한 얘기인가, 과연 공약으로서? 그런 의문이 좀 들더라”라고 답했다.

김 후보는 재차 한 후보의 메가폴리스 공약에 대해 “새로운 도시 개념으로 기존 도시를 연결하든, 바꾸든 간에 새로운 도시를 서울과 같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확대하는 것 아닌가”라며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표했다.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 결선투표에 진출한 김문수(왼쪽), 한동훈 후보가 30일 서울 중구 TV조선에서 TV토론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 결선투표에 진출한 김문수(왼쪽), 한동훈 후보가 30일 서울 중구 TV조선에서 TV토론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국회사진기자단, 연합뉴스]

한 후보는 “분당이나 일산처럼 새로 도시를 올려 세우는 것은 아니다”라며 “기존에 있는 도시의 교통망을 넓혀야 한다. 교통망을 넓혀서 그 도시를 발전시키겠다는 게 아니라, 그 도시의 산업과 주거를 집중시켜 자연히 그 수요를 늘리는 방식으로 (하겠다는 것)”라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김 후보가 말씀하는 GTX 같은 경우 전국 5대 광역권 확대 공약, 수도권 6개 노선도 안 되는 지금 어려운 상황에 이걸 어떤 재정으로 할지가 더 문제”라고 되물었다.

김 후보는 “일단 도시 계획이라는 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라며 “시간 개념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모든 계획은, 특히 임기가 제한돼 있는 경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 후보의) 계획이 나쁘다는 게 아니라 한 후보가 임기를 3년만 하고, 이걸 메가폴리스를 2년 만에 해내겠다고 한다”며 “아무래도 실현 가능하고 그것도 주민들이 볼 때도 믿을 수 있는 공약이어야지, 안 되는걸”이라고 연신 지적했다.

한편 김 후보와 한 후보가 경쟁하는 국민의힘 3차 경선의 최종 승자는 내달 1∼2일 선거인단 투표(50%)·국민 여론조사(50%)를 통해 가리게 된다. 최다 득표자는 내달 3일 오후 2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전당대회에서 최종 대선 후보로 선출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