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에 경찰밖에 없네?”…헌재 앞 ‘진공작전’에 집회 부상자 0명

3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가 있었던 4일, 서울 안국역 일대에서는 극단적 폭력 행위가 발생하지 않아 경찰의 진공작전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분석된다.

경찰은 이날 헌재 주변을 철저히 통제하고, 기동대와 특공대를 배치하여 시위자들의 접근을 막았으며, 결과적으로 부상자는 2명에 불과했다.

이러한 차별적인 경비와 강력한 대처는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당시와는 대조적으로 시위의 반발 강도를 약화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위치한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일대에서 경찰 기동대원들이 충돌 사태에 대비해 장벽을 설치하고 대기 중인 모습. [이상현 기자]

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위치한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일대에서 경찰 기동대원들이 충돌 사태에 대비해 장벽을 설치하고 대기 중인 모습. [이상현 기자]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를 내린 지난 4일 헌재가 위치한 서울 안국역 일대에서는 우려와 달리 극단적 폭력 행위가 발생하지 않았다.

지난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 당일 극심한 혼란을 경험한 경찰이 이번엔 헌재 반경 150m를 ‘진공상태’로 만든 작전이 유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5일 경찰과 소방 당국에 따르면 전날 서울 종로 일대에서는 2명의 경상자가 나왔다. 길을 걷다 넘어져 현장 처치를 받은 이들로, 집회로 인한 부상자는 사실상 0명이다.

박 전 대통령 파면 당시 벌어진 시위에서 지지자들이 극도로 흥분하며 경찰 버스까지 탈취했고 결국 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던 것과는 대조된다.

전날 오후 6시 기준 현행범 체포도 1명으로 집계됐다. 헬멧과 방독면 등을 쓴 남성이 안국역 5번 출구 앞에 세워진 경찰버스 유리창을 곤봉으로 깨다가 경찰 기동대원들에게 붙잡혔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위치한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일대에서 경찰 기동대원들이 진압복을 착용하고 있다. 인근 도로에는 경찰 차벽이 세워지는 등 일반인의 접근이 불가했다. [이상현 기자]

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위치한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일대에서 경찰 기동대원들이 진압복을 착용하고 있다. 인근 도로에는 경찰 차벽이 세워지는 등 일반인의 접근이 불가했다. [이상현 기자]

이외에 술에 취한 윤 전 대통령 지지자나 일부 유튜버들이 취재진을 향해 욕설하며 달려들고 차로에 뛰어드는 등 돌발 행동을 했으나, 대기하던 경찰이 즉각 이격 조치했다.

경찰은 전날 최고 단계 비상 체제인 ‘갑호비상’을 발령하고 전국에 기동대 338개 부대 2만여명을 배치했다. 서울 지역에만 210개 부대 약 1만4000명을 투입했다.

8년 전에도 ‘갑호비상’이 발령됐고 서울 도심 일대에 271개 부대 2만1600여명이 투입됐다. 결국 차이를 낸 것은 ‘진공작전’이었다는 분석이다.

이번 탄핵심판 선고를 이틀 앞두고 경찰은 헌재 반경 150m를 차벽으로 둘러싸 진공상태로 만드는 작전을 완료했다.

안국역 1번·6번 출구, 수운회관과 운현궁, 현대 계동사옥, 재동초교 인근 양방향 도로는 모두 차량 통행이 통제됐고, 시위자들의 접근도 철저히 차단됐다. 종로·중구 일대는 특별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설정돼 8개 구역으로 나뉘었다.

경찰서장 8명이 각 구역 ‘책임서장’을 맡는 가운데 경찰 기동대와 별도로 기동순찰대, 지역경찰, 교통경찰, 형사, 대화경찰 등 1500여명이 배치됐다. 헌재 인근에는 경찰특공대가 배치됐고, 기동대도 캡사이신과 장봉 등을 소지했다.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정문에 경찰관들이 서 있는 모습. [이상현 기자]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정문에 경찰관들이 서 있는 모습. [이상현 기자]

전날 헌재 선고 전 매경닷컴이 안국역 일대를 살펴본 결과, 종로3가역부터 헌재 정문까지 도보로 이동하려면 경찰 바리케이드를 여러 차례 통과해야 했다. 기자증 또는 신분증을 세 차례 제시해야 할 만큼 경비가 삼엄했다.

골목, 출입구마다 배치된 경찰은 헌재 직원과 방청객, 취재진을 제외한 이들의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했다. 한 노신사는 인근 회관을 찾았으나, “오늘 회관 열지 않습니다”라는 경찰관의 안내에 발걸음을 돌리기도 했다.

경찰 지휘부는 탄핵심판 선고 당일 “어떠한 불법행위도 용납하지 않겠다” 등 경고 메시지를 냈다.

시위자들이 물리적으로 폭력 행위에 가담하기 힘든 환경을 만든 뒤 엄중 대처 분위기를 조성하며 반발 강도도 자연스럽게 약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