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AI와 함께 살아가는 미래도시

2 weeks ago 10

[기고] AI와 함께 살아가는 미래도시

국토교통부는 내년도 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인 62조5000억원으로 확정했다. 예산안 편성 때 국민 안전을 강화하고 건설 경기를 회복하며 미래 성장을 준비하는 데 집중했다. 그중에서 국민 일상과 맞닿은 새로운 도전 과제가 있다. 바로 인공지능(AI)과 함께 살아가는 미래도시 ‘AI 시티’다.

AI 시티는 AI를 교통, 안전 등 도시 각 분야에 접목해 도시 운영과 서비스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모델이다. 기존 스마트시티가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생활의 편리함을 높이는 데 방점을 뒀다면, AI 시티는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미리 판단하고 스스로 움직이는 도시를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교통 상황을 반영해 최적의 이동 수단·경로를 안내하고, 집은 사람의 감정에 맞춰 조명·온도·향기가 바뀐다. 위험 구역은 조도를 높이며 드론이 순찰해 사고와 범죄를 미리 막는다. 사고와 시간, 비용이 줄어드는 도시가 바로 AI 시티다.

정부는 이런 변화를 구체화하기 위해 교통, 행정, 안전 등 도시 분야 전반에 AI 기술을 빠르게 구현할 계획이다. 민간이 주도적으로 AI 혁신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지원하고, AI 기술을 종합적으로 실증하는 ‘AI 특화 시범도시’를 조성한다. 시범도시는 국민과 개발자가 함께 거주하며 체험하고 개선하는 ‘리빙랩 도시’로 운영할 계획이다. 자율차, 도심항공교통(UAM), 로봇 등 신산업이 자유롭게 실증되도록 규제는 과감히 풀고 지원은 촘촘히 한다. 이를 위해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건축, 공간정보, 교통을 아우르는 전략을 마련한다. 내년 상반기에는 시범도시 대상지를 선정해 2028년까지 조성·운영 등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이렇게 구축된 선도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하고, 수출 가능한 도시 솔루션으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지금 AI 시티를 전면에 내세우는 이유는 국민 생활과 산업을 함께 끌어올릴 가장 현실적인 해법이기 때문이다. 기후 위기, 지역 균형발전, 글로벌 도시 경쟁력 강화라는 과제를 함께 풀 수 있는 방안이다. 노후 도심과 지방 도시에 새로운 성장 거점을 조성해 지역 활력도 되살릴 수 있다.

풀어야 할 과제도 있다. 양질의 도시 데이터를 확보하고,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AI 윤리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지하철과 도로처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디지털 격차를 줄이는 안전망도 필수다. 도시에 적용되는 AI는 특정 계층만을 위한 게 아니라 시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공공재가 돼야 한다.

AI 시티는 이제 첫발을 뗐다. 새로운 도전에는 난관이 따르지만 국민의 관심과 응원이 더해진다면 흔들림 없이 나아갈 수 있다. 사고는 줄고, 출근길은 빨라지고, 행정은 더욱 간편해지고, 에너지 낭비는 줄어드는 변화를 만들어 가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국민 눈높이에서 더 안전하고 편리하며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