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먹은 유치원생 70명 ‘집단 납중독’...식품 위생·안전 논란 끊이지 않는 이 나라

4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 간쑤성 톈수이의 한 유치원에서 아이들이 집단 납중독 증세를 보이며 학부모들이 병원에 데려가는 사태가 발생했다.

검사 결과, 74명 중 70명이 납중독으로 확인되었고, 혈중 납 농도는 대부분 정상 기준치를 초과했다.

현지 당局은 유치원 급식에서 첨가제가 초과 사용된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구체적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방도시 한 유치원서 탈모·구토·치아 변색 속출
당국 “급식에 기준치 초과 첨가제 들어간 듯”
학부모들 충격에 울부짖거나 실신하기도

중국서 납중독 의심으로 치아 일부가 검게 변한 유치원생. [중국 매체 지무뉴스 캡처]

중국서 납중독 의심으로 치아 일부가 검게 변한 유치원생. [중국 매체 지무뉴스 캡처]

중국의 한 유치원에서 아이들이 머리카락이 빠지고 치아가 까매지는 등 집단 납중독 증상을 보여 파문이 일고 있다.

CCTV, 지무뉴스 등 중국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3일 중국 간쑤성 톈수이의 한 유치원에서 원생들의 혈중 납 농도가 정상 기준치를 크게 초과했다는 당국의 진단이 나왔다.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구토, 어지럼증, 복통, 탈모, 과민반응, 흰머리, 치아 변색 등 다양한 이상 증상을 보이자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74명 중 70명이 납중독인 것으로 파악됐다. 당초 20여명 수준이었던 피해 아동의 수는 추가 검사로 대폭 늘어났다.

입원한 아이들만 최소 수십명으로, 현재까지 제독(除毒)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학부모는 “6세 딸이 흰머리가 나고, 치아에 검은 부분이 생겨 병원에 갔다”면서 “검사 결과 혈중 납 농도가 284.9㎍/ℓ인 납중독 상태로 나왔다”고 말했다. 검사받은 다수의 원생은 혈중 납 농도가 200∼500㎍/ℓ에 달했다.

중국 당국이 밝힌 어린이 기준 정상 혈중 납 농도는 100㎍/ℓ 이하다. 미국 질병통제센터 기준으로는 50㎍/ℓ만 넘어도 납중독으로 본다.

문제의 유치원 전경. [지무뉴스 캡처]

문제의 유치원 전경. [지무뉴스 캡처]

보도에 따르면 일부 학부모들은 유치원 소재지인 톈수이시의 일반 병원에서는 혈중 납 농도가 정상이라고 통보받았다면서 검사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또 과거에도 자녀가 급식을 먹고 구토와 복통 등 증상을 보인 적이 있었다고 증언했다.

검사 결과 통보를 받은 일부 학부모는 울음을 터뜨리는가 하면 충격으로 들것에 의해 실려 나가기도 했다.

교사들은 항의하는 학부모들에게 자신들도 피해자라고 주장하면서 두통과 메스꺼움 증상을 느꼈으나 심각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현지 당국은 해당 유치원에서 급식으로 나온 삼색 대추설기와 옥수수 소시지 롤 등 일부 식품에서 첨가제가 초과로 사용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한 상태다.

문제가 된 유치원에서 제공한 급식 사진. [지무 뉴스 캡처]

문제가 된 유치원에서 제공한 급식 사진. [지무 뉴스 캡처]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첨가물이 얼마나 들어간 것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는 당국이 제도와 규제를 강화해 왔다고 하나, 식품 위생 및 안전 관련 문제들이 심심치 않게 불거지고 있다.

지난해에도 저장성 항저우에 위치한 유명 훠궈 프랜차이즈와 대형 식자재 공급 업체에서 잇따라 부실 위생 관리 실태가 드러났다. 해당 식당에서 식사한 손님들의 혀가 까맣게 변색되는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특히 최근에는 한국처럼 배달 음식이 보편화 된 가운데 배달 음식관련 고발 영상이나 글이 SNS를 통해 퍼져 주목을 끌고 있다.

경제·과학기술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며 미국과 ‘G2’ 국가로 경쟁을 하면서도 기본적인 식품 위생 및 안전에 있어서는 후진국에서도 보기 힘든 고질적 문제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