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더 오르나, 거래액 340%↑… 美국채-비트코인은 하락

9 hours ago 1

11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종로본점에 골드바가 전시돼 있다. 박형기 기자 oneshot@donga.com

11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종로본점에 골드바가 전시돼 있다. 박형기 기자 oneshot@donga.com
코스닥 상장사 임원 김모 씨(47)는 반 년 전부터 중고거래 사이트 등에서 시세보다 낮은 골드바를 찾아 사모으고 있다. 그는 “금값이 많이 올랐어도 최근 3년간 물가상승률과 비교하면 아직 추가로 더 오를 여지가 있어 보인다”며 “미중 무역 분쟁이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금의 가치는 앞으로 더 큰 주목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전 세계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자 금 거래가 유례없는 수준으로 급증하고 있다. 미국 국채와 비트코인 가격이 주춤하면서 금이 ‘유일한 안전자산’으로 재평가된 결과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초 이후 이달 18일까지 금 현물시장의 하루평균 거래대금(금 1kg 기준)은 509억1600만 원이었다. 이는 지난해 하루평균 거래대금(115억2300만 원)보다 341.85% 증가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국내 증시에서 하루평균 거래대금이 3.44% 감소한 점을 고려하면 금 시장으로 자금 유입이 두드러진다고 볼 수 있다. 현재 KRX금시장에 상장된 금 현물은 1kg와 100g 골드바 두 가지다.

은행들이 판매하는 골드뱅킹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17일 기준 KB국민, 신한, 우리 등 시중은행 3곳의 골드뱅킹 잔액은 1조649억 원으로 작년 4월 말(6101억 원) 대비 75% 증가했다. 골드뱅킹이란 은행 계좌로 금을 0.01g 단위로 사고 팔 수 있는 금융상품이다. 가입 기간, 금액 등의 제한 없이 금을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투자자들의 금 거래가 부쩍 늘어난 것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 전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7일(현지 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3327.54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연초 이후 상승률만 25%에 달한다.

금과 함께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혔던 미 국채, 비트코인 등의 변동성이 커진 점도 ‘금 사재기 현상’을 야기하는 요인이다. 최근 미 국채 금리는 일부 투자자들의 매도 행렬에 의해 단기간에 급등(미 채권 가격 하락)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디지털 금’으로 주목받았던 비트코인 가격도 맥을 못 추고 있는 건 마찬가지다. 비트코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직후 10만6136달러까지 치솟았으나 이달 9일(7만6273달러)에는 당시보다 무려 28% 하락하기도 했다.

시장에선 금 가격 상승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이사는 “전 세계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개인, 기관투자자 가릴 것 없이 금이라는 안전 피난처를 찾고 있는 상황”이라며 “금 가격의 강세가 당분간 이어지고, 연내 (금값이) 온스당 3600달러까지도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시장의 가장 큰 변수로 꼽히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행보를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금 투자 역시 변동성에 유의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강우석 기자 wsk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