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와 우려 이어지는 오사카 엑스포
인간세탁기, 줄기세포 인공심장 현실로… 각국 개성 살린 해외관은 인기 포토존
조명, 음악 더한 밤이 더욱 화려해… 첫 주 관람객, 기대치 절반인 50만 명
부진 계속되면 7월 참의원 선거에 영향
13일 개막한 오사카 엑스포는 158개국이 참가해 각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는 장이다. 또한 ‘생명이 빛나는 미래 사회 디자인’을 주제로 열리는 만큼 첨단 기술을 실증하는 거대한 시연의 무대이기도 했다.
● 각종 첨단 기술의 시연장
10분쯤 달렸을까. 왼편에서 경보음이 울리더니 버스가 멈춰 섰다. 긴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운전석에서 대기하던 운전사가 곧 수동운전을 시작했다. 버스에 동승한 오사카 메트로의 관계자는 “일부 센서가 장애물을 인식 못 하는 것이 확인돼 급히 수동 운전으로 전환했다”면서 “가끔 이런 일이 발생한다. 아직은 실험 단계”라고 설명했다.상상을 구현해 낸 듯한 기술도 많았다. 일본의 목욕기기 제조업체 사이언스가 출품한 ‘미래 인간 세탁기’가 그렇다. 이 회사는 55년 전인 1970년 오사카 엑스포 때도 ‘인간 세탁기’를 선보였는데, 당시엔 얼굴을 기기 밖으로 내놓은 채 목 아래만 씻는 구조였다. 하지만 이번에는 1인용 캡슐형 기기 속에 들어가 앉아 세정에서 건조까지 이뤄지는 것으로 발전됐다.
이 세탁기를 시연하는 모습은 하루 5번 진행된다. 시간에 맞춰 가니 관람객들로 인산인해였다. 시연자가 캡슐에 들어간 지 약 15분 뒤 문이 열렸다. 기대감과 달리 시연자는 머리카락은 물론이고 온몸이 흠뻑 젖은 채로 나왔다. 옆에 서 있던 행사 관계자가 수건과 두툼한 목욕 가운을 건넸다. 행사 관계자는 “세척은 잘되지만 아직 건조까지는 완전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인공 심장’도 눈길을 사로잡았다. 길이 약 3cm로 엄지 손톱만 한 빨간색 조각이 스스로 벌떡벌떡 뛰는 것이 신기했다. 아직은 피를 뿜어내지 못하는 개발 초기 단계지만 언젠가 누군가의 심장을 대체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작은 생명체처럼 느껴졌다.가사와키중공업은 사람이 탑승해 몸으로 조종할 수 있는 2인승 사족보행 말 로봇 ‘콜레오(Corleo)’의 초기 모델을 공개해 화제를 모았다.
● 일본에서 보는 콜로세움
우려가 컸던 탓일까. 오사카 엑스포 현장은 광대한 목조 건축물인 ‘그랜드 링’을 처음 마주하는 순간 자연스레 감탄이 나왔다. 최대 높이 20m, 둘레 2km의 세계 최대 목조 건축물로 기네스북에도 오른 이 건축물은 이번 엑스포의 상장물이다. 특히 가장 높은 지역에 오르면 한편으로는 드넓은 오사카 앞바다가, 반대편으로는 축구장 217개 크기의 광활한 엑스포 행사장이 한눈에 들어왔다.
이번 엑스포에는 158개국이 참여했는데 국가별로 설치된 전시관은 하나하나가 그 나라의 특징을 압축하는 대표 건축물이었다. 이탈리아 전시관은 콜로세움을 모티브로 지어졌고, 사우디아라비아는 여러 독립된 건축물과 야자수 등을 미로처럼 설치해 사막의 오아시스로 들어가는 듯한 느낌이 들게 했다. 한국과 미국 등은 건물 외벽에 대형 파사드를 설치해 건물 자체를 국가를 홍보하는 대형 광고판으로 활용했다. 특히 각국의 전시관은 밤이 되면 각종 조명과 음악을 더해 화려함을 더했다. 고베에서 아내와 함께 온 70대 일본인 남성은 “1970년 오사카 박람회를 본 적이 있는데 그때보다 지금이 훨씬 볼거리가 많다”며 “특히 음악 등을 주제로 한 오스트리아 전시관이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엑스포를 관람하기 위해 휴가를 내고 영국에서 왔다는 네일 씨(52)는 “기대했던 것보다 엑스포 행사장이 크고 전시가 다양해 놀랍다”면서 “엑스포 관람 일정을 늘려서라도 다 보고 싶다”고 말했다.당초 ‘기괴하다’는 평가를 받았던 엑스포의 공식 캐릭터 ‘먀쿠먀쿠’의 인기도 높았다. 기프트숍 앞에는 입장을 위해 긴 대기줄이 생겼으며, 일부 제품은 조기에 완판되기도 했다.
● 관람객 저조, 7월 참의원 선거 변수?
이번 오사카 엑스포는 1970년 오사카, 2005년 아이치에 이어 세 번째로 일본에서 열린 엑스포다. 특히 55년 만의 재유치에 성공한 오사카는 성공에 사활을 걸고 있다. 또 이로 인한 경제효과도 기대한다. 하지만 현재로선 기대보다는 우려가 더 크다는 평가가 많다.
당초 2018년 박람회장 건설비로 1250억 엔(약 1조2500억 원)을 예상했으나 자재와 인건비가 올라가며 거의 두 배 가까운 2350억 엔(약 2조3500억 원)으로 늘었다. 그렇다면 관람 흥행이 예상보다 잘돼야 하는데, 초기 성적은 아직 기대에 못 미친다.
엑스포를 주최한 일본국제박람회협회는 13일 개막 이후 17일까지 일주일 동안 총 50만2000명의 관람객이 찾았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개막 후 9일 동안 50만 명을 돌파한 2005년 아이치 때보다는 빠른 기록. 하지만 당초 이번 엑스포의 관람객 목표인 2820만 명을 달성하려면 산술적으로 하루 평균 15만 명이, 일주일간 105만 명이 와야 한다. 그러나 개장 첫 주 관람객 수는 목표치의 절반 수준이었다. 아사히신문이 21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오사카 엑스포에 ‘가고 싶다’는 응답은 32%였다.
이러다 보니 주최 측이 관람객 목표를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잡은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이번 엑스포의 관람객 목표는 도쿄 디즈니랜드와 디즈니시, 주변 호텔 등을 포함하는 도쿄 디즈니 리조트의 연간 방문객 수 약 2630만 명(2023년 기준)보다 많다. 그런데 이런 숫자를 오사카 엑스포는 1년이 아닌 반년(총 184일) 만에 달성하겠다고 공언한 셈이다.
이번 엑스포의 건설비는 일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경제계가 3분의 1씩 부담한다. 적자 엑스포가 된다면 파장이 클 수밖에 없다. 특히 오사카를 기반으로 한 제2야당인 일본유신회가 이번 엑스포의 개최를 적극 이끌고 나섰다. 이런 까닭에 엑스포의 향후 흥행 여부가 7월 참의원 선거의 중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오사카에서
황인찬 도쿄 특파원 hic@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