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IB, 올해 韓성장률 평균 0.8→0.9%로 올렸다…1년4개월만

9 hours ago 1

1일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뉴시스.

1일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뉴시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년 4개월 만에 소폭 올렸다.

4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세계 주요 IB 8곳이 제시한 한국의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5월 말 평균 0.8%에서 지난달 말 0.9%로 0.1%포인트 올랐다.

IB별로 보면 바클리가 1.0%에서 1.1%,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0.8%에서 1.0%로, UBS는 1.0%에서 1.2%로 조정했다. 골드만삭스(1.1%), 노무라(1.0%), HSBC(0.7%), 씨티(0.6%), JP모건(0.5%)은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IB가 제시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 평균치가 조정된 건 지난해 2월(2.1%→2.2%) 이후 1년 4개월 만이다. 지난달에도 바클리가 0.9%에서 1.0%로, 골드만삭스가 0.7%에서 1.1% 높였지만, 평균치가 조정되진 않았다.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가 소폭 상향된 건 새 정부 출범 이후 정국이 안정되고 있고 확장 재정을 통한 성장률 재고, 미중 무역 갈등 완화, 중동 분쟁 소강 등의 대내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달 1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추경 패키지가 올해 성장률을 약 0.2%포인트 끌어 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관건은 부동산 시장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 속도다. 최근 요동치는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예상보다 늦어질 경우 한국 경제 상황도 이에 보폭을 맞춰 다소 늦게 발동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다. 한은은 최근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가계 대출이 8~9월 중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며 “과도한 금리인하 기대가 주택가격 상승 심리를 자극하지 않도록 추가 인하 시기와 속도를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