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통상본부장 “韓기업 불리하지 않도록…협상 총력 다할 것”

7 hours ago 1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통상당국이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 시한 만료일을 앞두고 미국과 막바지 협상에 나선다. 최대한 협상에 속도를 내는 동시에 협상 기간 추가 연장 방안도 강구한다는 계획이다.

(오른쪽부터)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지난달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 회의실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산업부)

산업통상자원부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는 5일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관세 협상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현재 미국 관세 조치 향방을 예측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인 만큼, 직접 방미해 미국 정부 주요 관계자를 만나 상호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한미간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구축에 대한 우리 의지를 재차 강조하는 한편, 미측이 제기한 주요 관심사항에 대해 이해를 제고하고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아울러 한미 양국이 무역·투자를 통해 긴밀히 연계된 상호보완적 협력 관계를 형성 중인 점과 그간의 우호적인 통상관계를 강조하며,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그간 양국이 쌓아온 협력 모멘텀이 약화하지 않도록 미측과 최선을 다해 협의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전달할 계획이다.

여한구 본부장은 “지금까지 진전된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기업이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다른 국가 대비 불리한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면서 “이번 관세 협상을 향후 한미간 상호 호혜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의 틀을 새롭게 구축하는 기회로 삼겠다”라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특히 이번 만남에서 미국 측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를 요청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가 지난달까지 계엄·탄핵 정국 속 권한대행 체제였고 6월 4일에서야 새 정부가 출범됐기에 미국 측 요구를 검토할 시간 자체가 부족했고, 그럼에도 산업협력 방안을 포함한 나름의 한국 측 제안을 마련해왔다는 점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앞서 여 본부장은 이날 오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필요에 따라 상호관세 유예 연장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산업부는 향후 미측의 관세 조치 관련 변동성 및 주요 경쟁국의 관세 부과 상황이 매우 유동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국 대상 미국의 관세 조치가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필요한 대응 조치를 신속히 강구할 계획이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