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과 ‘이민정책’ 껄끄러웠던 트럼프 “장례식 참석할 것”

5 hours ago 1

21일(현지 시간) 바티칸의 교황 개인 경당 내 관 속에 프란치스코 교황의 시신이 안치돼 있다. 교황청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하게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했다. 바티칸=AP/뉴시스

21일(현지 시간) 바티칸의 교황 개인 경당 내 관 속에 프란치스코 교황의 시신이 안치돼 있다. 교황청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특별한 장식 없이 간소하게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했다. 바티칸=AP/뉴시스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을 애도하는 물결이 세계적으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각국 지도자들과 주요 인사들도 바티칸 장례식에 참석할 뜻을 밝히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간) 트루스소셜을 통해 “멜라니아와 나는 교황 장례식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바티칸 방문이 성사되면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취임 이후 첫 해외 방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장례식 참석은 이례적이란 시각도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생전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판해 껄끄러운 관계를 이어왔다. 교황은 2016년에도 트럼프 당시 대선 후보의 멕시코 국경선 장벽 공약에 대해 “다리를 건설하지 않고 장벽만 건설하려는 이는 그리스도인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후로도 프란치스코 교황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민 정책이나 기후변화 문제 등을 놓고 자주 충돌했다. 다만 멜라니아 여사는 독실한 가톡릭 신자로 알려져 있다.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장례식 참석 의사를 밝혔다.

1951년 바티칸과 단교한 중국은 교황의 선종 하루 뒤 애도했다. 궈자쿤(郭嘉昆)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교황 선종을 애도한다. 중국은 바티칸과 지속적인 관계 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교황의 장례 미사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제266대 교황인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한 가운데 22일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빈소가 마련되어 있다. 뉴시스

제266대 교황인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한 가운데 22일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빈소가 마련되어 있다. 뉴시스
한국은 정부 차원에서 조문단을 꾸려 교황 장례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2005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선종 당시엔 세계 200여 개국에서 지도자와 조문단이 바티칸을 찾았다. 한편 한국천주교주교회의(의장 이용훈 주교)는 22일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 미사 참석을 위한 주교회의 조문단을 염수정 추기경(전임 서울대교구장), 이용훈 주교, 임민균 신부(주교회의 홍보국장)로 구성했다”고 밝혔다. 서울 종로구 주한 교황청대사관과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에는 공식 분향소를 마련했다. 염 추기경 등은 이날 오후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마련된 프란치스코 교황 분향소를 찾아 조문했다. 서울대교구는 24일 오전 10시 명동대성당에서 ‘프란치스코 교황 추모 미사’를 봉헌한다.

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임현석 기자 lhs@donga.com
이지윤 기자 leemail@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