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폭탄' 맞은 K철강 살리기…정부, 4000억 규모 수출보증

2 days ago 3

< 포항제철소 현장점검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 포항제철소 현장점검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미국의 50% 관세 부과,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는 철강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수출 금융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철강 제품의 저탄소·고부가가치 전환을 위한 설비 조정도 지원한다.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철강산업특별법도 조속히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본지 9월 19일자 A1, 3면 참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9일 경북 포항시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찾아 주요 철강기업 사장단과 간담회를 열고 “철강기업,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4000억원 규모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보증상품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 등 대기업과 기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등이 출연해 협력사와 철강 파생상품 업체의 수출을 지원한다는 게 핵심이다.

김 장관은 “대미 관세협상에서 철강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했지만 관철이 어려웠던 점에 대해 업계의 이해를 부탁한다”며 “미국과 협의를 이어가면서 관세 완화와 후속 지원 대책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또 “우회 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에 대한 방어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관세 25%를 부과한 데 이어 6월에는 50%로 인상했다. 한국 철강업계는 7월 대미 수출이 작년보다 25% 이상 급감하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희근 포스코 사장,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 최삼영 동국제강 사장, 홍만기 세아제강 부사장 등 주요 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 장관은 “국내외 공급 과잉 문제는 업계와 긴밀히 협의해 품목별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철강산업 위기로 인한 지역경제 어려움도 함께 해소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에서 논의 중인 철강산업특별법이 핵심 정책과제를 담아 입법화될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고 했다. 어기구(더불어민주당)·이상휘(국민의힘) 의원이 함께 발의한 철강산업특별법은 철강산업이 경쟁력을 키우고 탄소중립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계획을 수립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산업부는 올해 1월 출범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TF를 통해 전문가와 업계 의견을 듣고 있다. 정부는 TF 논의 결과와 관계부처 협의를 종합해 이달 말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범용 철강제품 감산, 고부가 제품 확대, 저탄소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과 설비 투자 인센티브가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