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해킹 여파에…금감원 '해지 절차' 손본다

3 hours ago 2

금융당국이 카드사에 신용·체크카드 해지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최근 롯데카드 해킹 사태를 계기로 “카드 해지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금융소비자 민원이 빗발친 데 따른 조치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신한·삼성·현대·KB국민 등 8개 전업 카드사 및 여신금융협회와 회의를 열어 카드 해지 관련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금감원은 “홈페이지나 앱에 카드 해지 메뉴가 숨겨져 있고 절차도 복잡하다는 민원이 많다”며 업계에 개선을 요구했다. 현재 고객이 카드를 해지하기 위해선 카드사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직접 신청하거나 고객센터에 전화해야 한다.

최근 해킹 사태로 롯데카드 해지 신청이 급증한 가운데 소비자 민원도 다수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카드는 홈페이지나 앱에서 카드 해지를 신청한 고객을 대상으로 유선으로 고객 의사를 확인한 뒤 해지를 돕고 있다. 일부 롯데카드 고객은 온라인 커뮤니티 등지에 “카드 해지를 전화로만 가능하게 해서 수십분째 통화 연결을 기다리고 있다”고 불만을 쏟아냈다.

카드업계는 해지 신청 메뉴를 홈페이지나 앱 초기 화면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가 카드업계 공통 매뉴얼을 마련해 전체 카드사에 적용할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카드 해지를 지나치게 쉽게 하면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단종된 카드는 한 번 해지하면 재발급이 불가능하다. 오래 쓴 카드를 해지하면 신용등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고객이 충동적으로 카드를 해지했다가 추후 필요해지면 다시 신규 발급받는 과정에서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며 “카드사 입장에선 장기 고객을 전제로 설계한 서비스 구조가 흔들리는 등 상품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롯데카드 고객들은 카드 해지·탈회에 이어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이날 오후 3시 기준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카페’에 가입한 회원은 4300명을 넘어섰다. 피해자들은 “부정 사용 사례가 아직 없다고 하지만 해외 결제나 ‘키인 거래’(단말기에 카드번호와 정보를 직접 입력해 결제하는 방식)에서는 위험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롯데카드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수익 극대화에 치중하면서 보안 투자를 소홀히 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끊이지 않고 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이날 금감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롯데카드의 정보기술(IT) 임원은 3명으로 전체 임원(45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7%에 불과했다. 8개 전업 카드사 중 최하위권이다.

서형교/박재원 기자 seogy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