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빌딩과 강은 공존 가능 한강 덮개공원은 좋은 시도"

13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계적인 건축가 토머스 헤더윅은 한강변 초고층 재개발에 대해 건물의 높이보다 사람과 자연의 연결을 강조하며, 땅과 건물이 만나는 접점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헤더윅은 한강의 가능성에 주목하며, 서울의 '소프트파워'를 강화하기 위해 시민들이 강과 가까워질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서울을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만들기 위한 노들섬 프로젝트와 오는 9월 열릴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준비를 위해 방한했으며, 모든 시민이 참여하는 축제로 만들고 싶다고 전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건축 거장 '토머스 헤더윅' 단독 인터뷰
英템스강보다 세배 넓은 한강
서울이 가진 최고 소프트파워
저출산 서울에 '로맨틱 한강'을
일본의 '아자부다이힐스'처럼
자연·도시 유기체같이 엮어야
서울 건축물에도 스토리텔링을

오는 9월 열릴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서 최근 한국을 찾은 세계적 건축 거장 토머스 헤더윅이 매일경제신문과 단독 인터뷰하며 그가 설계한 서울 노들섬, 서울의 도시 발전 방향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오는 9월 열릴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서 최근 한국을 찾은 세계적 건축 거장 토머스 헤더윅이 매일경제신문과 단독 인터뷰하며 그가 설계한 서울 노들섬, 서울의 도시 발전 방향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건물이 얼마나 높냐보다 땅과 하늘, 사람이 어떻게 만나는지가 가장 중요하죠."

세계적 건축 거장 토머스 헤더윅이 서울 한강변 초고층 재개발에 대해 던진 핵심 메시지다. 최근 방한해 매일경제와 인터뷰한 헤더윅은 "강과 고층 빌딩은 공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람들은 건물이 얼마나 높게 올라갈지를 너무 많이 걱정하는 반면 정작 땅에 닿는 부분을 어떻게 만들어갈지에 대해선 충분히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면서 "건물과 땅이 만나는 지점, 즉 사람이 걷고 머무는 공간을 얼마나 흥미롭고 다양하게 만들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초고층 건물의 성패도 지상 접점부 개발에 달려 있다고 조언했다. 헤더윅은 "만약 예산이 한정돼 있다면 건물 상단보다 하단(지상부)에 더 투자해야 한다. 가령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건물에 스토리텔링을 입힐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헤더윅이 설계한 뉴욕 '리틀 아일랜드'.

헤더윅이 설계한 뉴욕 '리틀 아일랜드'.

헤더윅은 현재 세계 건축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디자이너 중 하나다. 뉴욕의 '리틀 아일랜드', 런던의 '콜드롭스 야드', 상하이의 '1000트리즈' 등 세계 주요 도시 랜드마크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그가 설계한 서울 노들섬의 '소리풍경'은 2028년 완공을 앞두고 있다. 공학·문화·스토리텔링을 망라하는 종합예술적 천재성으로 '현세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불리고 있다.

헤더윅은 초고층 빌딩과 자연(산), 강이 어우러진 도시 사례로 홍콩을 언급했다. 그는 "완차이에 가면 얇게, 하늘로 솟아오른 건물이 즐비하지만 거리는 여전히 흥미롭고 활기가 넘친다"고 했다. 비결은 '다양성'과 '연결성'이다. 헤더윅은 "핵심은 거리와 강변이 시민 모두에게 열려 있고, 고층 빌딩과 거리의 접점이 죽지 않게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예로 개장과 동시에 일본 도쿄의 명물로 떠오른 아자부다이힐스가 있다. 중심 건물인 모리JP타워는 330m로 일본 최고층 빌딩이지만, 주변 풍경과 조화를 이룬다. 헤더윅은 자연과 도시가 마치 유기체처럼 연결된 아자부다이힐스 저층부를 탄생시킨 장본인이다.

일본 도쿄 아자부다이힐스 모습.

일본 도쿄 아자부다이힐스 모습.

헤더윅은 "런던의 템스강보다 (폭이) 세 배나 넓은 한강은 엄청난 가능성을 품고 있고 이 같은 기회를 가진 도시는 결코 많지 않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강이야말로 서울이 가진 가장 큰 '소프트파워'이고 한강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이 곧 서울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일이라는 것이다. 서울시가 추진 중인 한강변 일대의 '덮개공원'에 대해 그는 "장기적으로 좋은 목표"라고 평가했다. 헤더윅은 "과거엔 강이 도시의 뒷문 역할을 했지만 이젠 시민들이 강과 더 가까워지고 물 위에서 더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추세"라면서 "도로를 넘거나, 밑으로 지나가거나, 우회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많은 시민이 강과 연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덮개공원 조성을 포함해 계획안을 수립한 반포·압구정·성수 등 3만9000가구 한강변 정비사업은 환경부 산하 한강유역환경청의 강한 반대에 발목이 잡혀 난관에 봉착한 상태다.

그는 한강 노들섬을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지난해 노들섬 개발을 위한 서울시 공모에서 헤더윅의 설계작 '소리풍경'이 선정됐다. 헤더윅은 "서울은 세계적으로 음악에 강점이 있지만, 방문자 입장에선 그 문화가 잘 보이지는 않는다"며 "도시 전역에 존재하는 서울의 소리를 한데 모아 노들섬에 집중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키워드는 '로맨틱'이다. 헤더윅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가진 나라의 수도인 서울엔 사람들이 만나고 데이트할 수 있는 낭만적인 공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가 이번에 한국을 찾은 것은 오는 9월 열릴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를 준비하기 위해서다. 헤더윅은 이번 행사의 총감독을 맡고 있다. 헤더윅은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를 전문가들만의 대화가 아니라 13세 아이부터 99세 어르신까지 모두가 참여하는 축제의 장으로 만들고 싶다"면서 "인공지능 등 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사람들의 감정과 상상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황순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