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민선 7기(이재명 전 지사) 때 도입한 '극저신용대출'을 민선 8기에서 보완·관리한다.
경기도는 김동연 지사가 지난 22일 도청 집무실에서 이용자 3명을 초청해 “어려운 처지의 분들께 공공이 내미는 마지막 손 같은 제도”라며 '극저신용대출 2.0'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경기도는 대출과 동시에 정밀 상담을 실시해 상환 능력에 맞춘 만기 연장·분할상환 등 재약정 35.3%를 운영했다. 완전상환 24.5%, 연체 38.3%로 집계됐으며, 연체 비율은 4월 대비 12.8% 감소했다. 일각의 '연체율 74%'는 재약정을 연체에 단순 합산한 오해라는 설명이다.
현장에서는 대출이 생계 회복의 '디딤돌'로 작동했다. 조손가구 어르신(66)은 50만원 대출과 사후 상담으로 기초생활수급·돌봄 연계를 받아 위기를 넘기고 지난 18일 전액 상환했다. 1인 가구 남성(51)은 200만원으로 생활·주거·의료비를 메우고 버스기사 양성 연계로 소득을 회복, 2024년 6월 조기 완납했다. 한 실직자(48)는 50만원으로 생계를 버티다 마을버스 취업 후 상환했다.
다른 사례에서도 전동휠체어 구입, 한부모 가정의 교육·의료·통신비 보전 등 대출과 복지·고용 서비스를 결합한 사회적 회복 프로그램 성격이 확인됐다.
경기도는 불법사금융 차단, 맞춤형 상환 스케줄, 취업·직무훈련 패키지, 만기 전 재약정 표준화, 취약 유형별 상담 매뉴얼 고도화 등을 담은 '극저신용대출 2.0'을 추진한다. 금융취약층을 겨냥해 채무관리·복지 상담·취업 지원을 묶은 안전망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김동연 지사는 “극한 상황에서 작은 지원도 가뭄의 단비다. 극저신용대출 2.0으로 다시 한 번 좋은 기회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수원=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