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살린다더니”…SOC 투자 가뭄에 지역건설사 벼랑 끝

11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적인 침체로 인해 민간의 사회간접자본(SOC) 발주가 중단되고, 공공 일감도 급격히 줄어들면서 건설경기가 더 깊은 침체에 빠지고 있다.

특히 올해 1~5월 시설공사 금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3% 감소한 10조8748억원에 불과하며, 대형 공공공사의 유찰 비중 또한 증가하고 있다.

건축업계는 고금리와 공사비 상승의 영향을 동시에 받으며, 정부의 SOC 예산이 stagnant 상태에 머물러 있어 지방 건설사들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조달청 입찰액 1년 새 반토막
대형 공공공사 유찰도 속출
SOC 예산은 갈수록 비중 ‘뚝’

건설노동자가 얼음물을 마시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건설노동자가 얼음물을 마시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장기 침체로 사회간접자본(SOC) 민간 발주가 사실상 끊겼고, 공공 일감마저 빠르게 줄어들면서 건설경기 침체가 더욱 깊어지고 있다. SOC 확대를 추진 중이지만, 예산 편성부터 프로젝트 발주, 실행까지 단계별로 ‘꽉 막힌’ 상태다. 부산 소재 D건설사 대표는 “정부가 건설경기를 살린다는데 말뿐인 듯하다”며 “조달청에 올라오는 신규 발주부터 지방건설사들은 해볼 만한 게 아예 없다”고 했다.

여기에 지방 부동산 침체와 고금리, 공사비 상승으로 건설업계는 3중, 4중의 고통을 겪고 있다.

4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올라온 입찰공고를 분석한 결과 올해 1~5월 시설공사 금액은 10조874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9조9026억원보다 45.3%가 감소했다. 대형 공공공사가 유찰되는 비중도 2022년 64.3%에서 지난해 65.7%로 높아졌다.

사진설명

SOC 투자의 ‘첫걸음’인 정부 SOC 예산은 2022년 이후 단 한 번도 28조원 벽을 넘어서지 못했다. 전체 예산 중 SOC가 차지하는 비중은 4%대에서 3%대로 떨어졌다.

2025년 2차 추가경정예산안에서도 정부가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추경예산안에 편성했던 앵커리츠와 지방 미분양 안심환매 사업이 국회 심사 과정에서 대폭 삭감됐다.

지지부진한 SOC 투자의 직격탄은 지방 건설사들에 큰 타격을 주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현장소재지별 건설공사 계약금액’에 따르면 서울은 전년 대비 16.6%, 경기는 12%, 인천은 61.3% 증가한 반면 광주는 53.5%, 울산은 50.5% 급감했다.

최석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기획·경영본부장은 “정부가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해 공공투자를 늘린다고 하는데 현장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양상”이라고 진단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