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주미대사가 한미 간 무역 협상과 관련해 "양측 간에 남은 이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생산적인 결과가 기대된다고 예상했다.
강 대사는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월25일 첫 정상회담을 가진 뒤 "안보는 물론 무역·투자 패키지와 관련해 후속 논의가 많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두 대통령이 매우 생산적인 두 번째 정상회담을 갖게 되기를 크게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 대사는 이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워싱턴DC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나 협상한 것을 언급하면서 "무역과 안보 분야에서 많은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세계 안보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런 도전에 적응하고 한발 앞서나가 (한미) 동맹을 안보뿐 아니라 경제 동맹과 기술 동맹까지 아우르는 미래지향적이고 포괄적이며 전략적인 동맹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최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가 참석한 APEC 회원국의 통상 장관 회의 당시 '투명하고 예측 가능하며 기업 친화적인 무역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취지의 공동성명이 채택된 것과 관련해 "매우 고무적이었다"는 평가를 내놨다.
그러면서 "양자 간 관세 문제가 여전히 어려운 문제이긴 하지만 각국이 공동의 방향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고 했다.
강 대사는 또 조지아주 한인 구금사태로 촉발된 비자 문제와 관련해 양측이 '워킹 그룹'을 구성해 그간 두 차례 회의했다고 전했다. 그는 "단기적으로 조치가 가능한 사안뿐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다뤄야 할 사안까지 함께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주한 미국 대사관에 한국의 투자자, 미국 파견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담 창구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이미 가시적인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장기적으로 투자자들은 근로자들을 파견할 수 있으며 투자 프로젝트의 설치, 운영, 유지에 필요한 일을 확실히 할 수 있다는 확신을 원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미 의회에 계류 중인 한국인 전문 인력 비자(E-4 비자) 법안이 통과되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강 대사는 한국 정부가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도 강조했다. 그는 "투자자들이 입국 절차의 신뢰성과 이곳에서 일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해 확실한 보장을 요구할 충분한 필요와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최근 중국이 한화오션 자회사 5곳에 대해 제재 조치를 한 것과 관련해 "우려할만한 사안"이라며 "서울과 베이징이 그것의 직접적 영향에 대해 논의 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우리에게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파트너이자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운 이웃"이라며 "우리는 수십년간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해 왔고 앞으로도 이를 이어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