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놀라운 성장, 리투아니아의 귀감···반도체 협력 확대 기대”

5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리투아니아의 루카스 사비카스 경제혁신부 장관은 방한 중 한국과의 협력 확대를 강조하며, 특히 반도체 및 첨단 산업 분야에서 상호 윈윈하는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리투아니아는 레이저 기술을 바탕으로 반도체 생산국으로 도약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한국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산업 성장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기대했다.

그는 또한 리투아니아가 한국 기업들의 유럽 진출 관문이 될 것임을 강조하며, 다수의 한국 기업들이 후속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루카스 사비카스 경제혁신부 장관
韓 기업과 반도체 협력 확대 구상
“상호 강점 막대한 시너지 낼 것”
‘투자 하이웨이’로 韓 전폭 지원

사진설명

“한국의 경제 발전은 리투아니아에 큰 귀감을 준다. 한국과 협력을 확대해 우리도 자립적이고도 위기에 강한 경제 체제로 나아가고자 한다”

유럽의 대표 강소국인 리투아니아가 한국과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서 협력 확대 의지를 내비쳤다. 루카스 사비카스 리투아니아 경제혁신부 장관(35·사진)은 최근 3박 4일 일정으로 방한해 국내 유명 기업들과 접촉한 뒤 매일경제와 만나 양국 경제 협력의 새로운 도약을 강조했다.

북유럽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리투아니아는 인구 약 270만 명에 한반도 면적의 약 3분의 1에 불과하지만 역사적으로나 경제 성장 면에서 빠른 판단력과 과감한 도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1990년 구 소비에트연방 국가 중 가장 먼저 독립을 선언하고 2015년 1월 유로존에 가입했다.

IT에 특화한 산업 기반으로 특히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유수 기업이 리투아니아의 정밀 레이저 공정 기술 기업들에 의존하고 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한국의 76%인 2만7000달러(2024년 기준)에 이른다.

빠르고 활력 있는 리투아니아 경제를 상징하듯 올해 30대의 젊은 사비카스 장관은 취임 6개월을 맞아 해외 방문 일정 중 우선해서 한국을 택했다. 이번 방문 기간 중 LG를 비롯해 다수의 기업들과 접촉해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그는 해외 기업들과 구분되는 한국 기업만의 강점에 대해 “한국 기업은 글로벌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기술을 끊임없이 고도화한다”고 평가했다. 바로 이런 점에서 리투아니아 혁신 기업들이 한국의 첨단 산업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다고 그는 강조했다.

리투아니아는 광학 산업 강국으로, 미세 공정이 필수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기업들이 리투아니아와 정밀 레이저 분야에서 밀접한 공급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번 방한 일정에도 리투아니아의 레이저산업 대표 기업단이 동행했다. 사비카스 장관은 “세계 100 대학 중 90곳 이상이 리투아니아 레지어 기술을 활용하고 있을 정도로 과학 기술 분야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며 “기술 융합으로 (한국과) 상호 윈윈하는 산업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리투아니아가 한국 기업들의 유럽 진출 관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리투아니아는 올해 상반기 ‘투자 하이웨이(highway)’ 정책을 만들었다.

수년이 걸리던 공장 설립 기간을 단 몇 달 만에 가능하게 하는 절차 간소화 정책이다. 유럽연합(EU)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기업들이 리투아니아를 거쳐 가라는 강력한 ‘어필’이다.

한국과 리투아니아 간 협력 중인 구체적 분야도 소개했다. 대표 산업은 단연 반도체다. 리투아니아는 레이저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반도체 생산국으로도 도약하겠단 계획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메모리반도체 강국인 한국과의 파트너십을 매우 중시한다.

사비카스 장관은 “대표 레이저 기업 ‘텔토니카’는 제조 역량을 빠르게 확장 중이다”라며 “한국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더해지면 산업 전반의 성장 속도가 훨씬 빨라질 수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바이오테크(생명공학), 우주분야, 핀테크로도 협력 범위를 넓히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과 바이오테크 업무협약(MOU)를 체결했고, 공동 연구개발(R&D) 펀딩을 하고 있다.

아울러 2개의 한국 핀테크 기업이 유럽 진출 라이선스를 받기 위해 리투아니아에서 절차를 진행 중이다.

사비카스 장관은 “이번 방한에서 많은 한국 기업이 실질적인 후속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며 “조만간 리투아니아를 찾을 관련 한국 기업들이 추가 단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힘껏 돕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