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잘나가던 미국 내 전기차(EV) 시장이 장기화된 캐즘(일시적 수요 부진) 여파에 도널드 트럼프발 보조금 폐지까지 겹쳐 울상이다. 전기차 부진은 배터리 수요 악화로 이어지며 전임 조 바이든 정부 때 질주하던 그린산업 전체가 위기에 빠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6월 미국 내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보다 6.2% 줄었다. 3개월 연속 감소세다. 승승장구하던 테슬라는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판매량이 2분기 기준 13.5% 급감했다.
GM·현대차·기아 등 자동차 업체는 동급 휘발유차보다 가격 면에서 더 많은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지만 판매량은 신통치 않다.
최근 미 의회를 통과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OBBBA)'은 엎친 데 덮친 격이다. 당초 전기차에 대한 연방정부의 세액공제 혜택은 2032년까지 유지될 예정이었지만 올해 9월로 종료 기간이 대폭 앞당겨졌다.
전기차 세액공제는 그동안 전기차 질주의 일등 공신이었다. 신차는 최대 7500달러, 중고차도 4000달러나 차값 할인 혜택이 적용됐다. 그 덕분에 2020년 20개를 밑돌던 미국 내 전기차 모델은 현재 75개로 급증했다.
전기차 부진에 배터리 산업도 직격탄을 맞았다. 이날 블룸버그에 따르면 코어파워가 애리조나주에 10억달러 규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려던 계획이 좌초됐다. 이 때문에 214에이커(약 87만㎡)에 이르는 용지가 텅 비어 있다. 조지아주에 들어설 예정이던 배터리 부품공장과 매사추세츠에 설립하기로 한 풍력터빈 공장 등도 올스톱됐다. 콜로라도주에 공장을 세우려던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업체 역시 당분간 건설을 보류한다고 밝혔다.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승인된 대규모 그린 제조업 대출 중 일부는 더 이상 추진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뉴욕 임성현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