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시행 임박…"반도체 관세 15% 수준 될 것" 전망

17 hours ago 3

입력2025.08.06 15:25 수정2025.08.06 15:25

사진=EPA·연합뉴스

사진=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부과한 상호관세 시행이 눈앞으로 다가오자 다음 주 중 발표될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에 시선이 쏠린다. 업계 안팎에선 반도체 관세율은 15%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7일 0시1분(미 동부시간 기준)을 기해 각국 상대로 한 상호관세를 본격 시행한다. '탈중국'에 초점을 맞춘 산업구조 재편과 무역수지 적자 해소를 달성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새판짜기'가 본격화하는 것이다.

한국은 미국에 3500달러를 투자하는 대신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합의했다.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의 경우 15%로 하향 조정됐다. 반도체와 관련해선 한국을 다른 나라들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수준으로 대우하겠다는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반도체 관세도 15% 안팎에서 정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유럽연합(EU)은 반도체와 관련해 15% 관세에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품목별 관세의 경우 국가별로 부과되는 구조는 아니지만 EU와의 협상 내용을 고려하면 15%로 정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해석이다.

백길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지난 1일 리포트를 통해 "아직 반도체 관세율이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이번 한미 무역합의는 정책 불확실성 완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며 "8월 관세 최종 합의에서 반도체 관세율 역시 15% 전후로 적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이 중국과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도 반도체 관세율이 높지 않을 것이란 전망을 뒷받침한다.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데 막대한 투자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반도체 관세율이 높게 적용될 경우 비용 부담도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어서다.

무엇보다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상황을 가정하더라도 올 하반기 AI 관련 반도체 수요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높은 관세에도 수요가 유지될 경우 '비용 증가'란 결론만 남는 셈이다.

경희권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반도체 관세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서버 같은 품목도 영향을 받을 텐데 모바일처럼 컨슈머 디바이스 수요는 줄 수 있다고 하더라도 AI에 천문학적 투자를 예정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팅 쪽 수요는 오히려 늘어날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반도체 관세를 높게 적용하면 미국의 국가 전략에 부담이 많이 갈 것이라 관세가 예상보다 높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반도체의 경우 한국·대만 기업이 차지하는 시장 점유율이 압도적인 데다 대체 생산자를 찾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삼성전자는 테슬라와의 AI 칩 공급계약을 체결하면서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조성 중인 파운드리 공장 건설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반도체 패키징 생산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기업 모두 메모리 생산시설을 미국에 두고 있진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반도체 관세 등과 관련해 "다음 주 안에 구체적으로 관세율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반도체에 대해서도 별도 카테고리로 발표할 예정인데 이것들이 미국에서 생산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6억달러로 조사됐다. 대미 반도체 수출 비중으로 볼 경우 중국(32.5%), 홍콩(18.4%), 대만(15.2%), 베트남(12.7%)보다 낮은 7.5%를 차지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