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미국 수출 과정에서 50% 관세 부담을 떠안고 있는 철강업계를 위해 4000억원 규모의 신규 금융지원에 나선다.
![]()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이 19일 경북 포항 포스코 본사에서 열린 포항 철강업계 간담회에 앞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
1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김정관 장관은 이날 포항에서 주요 철강기업 사장단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철강 수출공급망강화 보증상품 신설 계획을 밝혔다.
김 장관은 “대미 관세협상에서 철강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했으나 관철이 어려웠다는 점을 이해해 달라”며 “철강기업과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4000억원 규모의 지원 효과가 있는 보증상품을 신설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미국 측과 관세 완화 협의를 지속하고 관세 후속 지원대책 이행과 우회 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 방어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이 자리에서 석유화학에 이은 철강 산업 구조개편 논의도 운을 뗐다. 철강산업은 미국 관세 부담과 함께 중국발 공급과잉에 따른 부담도 함께 안고 있어 석유화학산업과 함께 국내산업 구조개편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국회에도 이를 위한 철강산업특별법 논의가 이뤄지는 중이다.
그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품목별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지역경제 어려움 해소에 나설 것”이라며 “현재 논의 중인 특별법도 핵심 정책과제가 입법되도록 국회와 협의해나가겠다”고 전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희근 포스코 사장과 서강현 현대제철(004020) 사장, 최삼영 동국제강(460860) 사장, 홍만기 세아제강(306200) 부사장, 최철균 넥스틸(092790) 상무, 김영학 TCC스틸(002710) 사장 등 주요 철강사 경영진과 이경호 한국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
김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 앞서 포스코 포항제철소 2고로을 찾아 인공지능(AI) 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도 둘러봤다. 포스코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8100억원을 투입해 세계 최초의 수소환원제철 실증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현장에서 “저탄소 철강재 및 특수탄소강에 대한 인센티브를 통해 철강산업의 저탄소·고부가 전환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9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2고로를 찾아 이곳 관계자로부터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제철공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산업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