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의원 72명 야스쿠니 집단 참배…이시바 내각 차관도 포함

6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본 국회의원 72명이 22일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도쿄 야스쿠니신사를 집단 참배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의원은 참배 후 "순직한 분들의 영혼에 깊이 감사의 마음을 바쳤다"고 언급하며, 야스쿠니신사 참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현직 총리는 공물 봉납만 진행하며,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하지 않았고, 2013년 이후로 총리가 직접 참배한 사례는 없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잠룡’ 다카이치는 개별 참배
이시바 총리는 지난번 처럼 공물만 봉납

일본 국회의원들이 22일 오전 도쿄 야스쿠니신사 춘계 예대제(例大祭·제사)를 맞아 참배하고 있다. [도쿄 교도=연합뉴스]

일본 국회의원들이 22일 오전 도쿄 야스쿠니신사 춘계 예대제(例大祭·제사)를 맞아 참배하고 있다. [도쿄 교도=연합뉴스]

일본 국회의원 72명이 22일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도쿄 야스쿠니신사를 집단 참배했다.

NHK에 따르면 초당파 의원 연맹 ‘다함께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의 자민당, 입헌민주당, 일본유신회 등 각 정당 의원 72명은 야스쿠니신사 춘계 예대제(例大祭·제사)에 맞춰 이날 오전 일제히 참배에 나섰다.

이 모임 부회장인 아이사와 이치로 중의원(하원) 의원은 “올해는 전후 80년”이라며 “많은 영령이 주춧돌이 돼 전후 번영하고 평화로운 일본이 세워졌다는 역사를 잊는 일이 없도록 참배했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이 모임은 매년 춘계·추계 예대제와 일본의 패전일인 8월 15일에 단체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추계 예대제 때는 중의원 선거(총선)기간이 겹치면서 집단 참배를 하지 않았다.

지난해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 결선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양자 대결을 펼쳤던 다카이치 사나에 의원은 개별적으로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

차기 총리 후보로서 ‘잠룡’이자 보수정당 자민당 내에서도 우익 성향이 매우 강한 것으로 평가되는 다카이치 의원은 참배후 취재진에 “순직한 분들의 영혼에 깊이 감사의 마음을 바쳤다”고 말했다. 그는 각료 시절에도 정기적으로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

이시바 총리는 춘계 예대제 첫날인 전날 참배는 하지 않고 ‘마사카키’라고 불리는 공물을 봉납했다.

이시바 총리는 작년 10월 총리 취임 직후 진행된 추계 예대제 기간에도 야스쿠니신사에 공물을 봉납했는데, 신사에 공물을 봉납한 것은 당시가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현직 총리가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것은 2013년 12월 아베 신조 당시 총리가 마지막이다.

아베 전 총리에 이어 취임한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도 공물만 봉납했다.

이날까지 이시바 내각 각료 가운데 춘계 예대제 기간에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인물은 없었다. 다만 총무성 부대신을 맡고 있는 도가시 히로유키 의원, 후생노동성 정무관인 요시다 신지 의원은 참배 모임과 함께 이날 참배했다. 부대신은 차관, 정무관은 차관급에 해당한다. 야스쿠니신사 춘계 예대제는 23일 종료된다.

야스쿠니신사는 메이지유신 전후 일본에서 벌어진 내전과 일제가 일으킨 수많은 전쟁에서 숨진 246만6000여 명의 영령의 위패를 놓고 추모하고 있다.

그중 90%에 가까운 약 213만3000위는 태평양전쟁과 연관돼 있다. 극동 국제군사재판(도쿄재판)에 따라 처형된 도조 히데키 전 총리 등 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의 위패도 합사돼 있다.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참배를 찬성하는 일본 여론은 한국 등 주변국의 반대를 내정간섭 또는 반일행위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산케이 신문은 지난해 8월 15일 사설에서 “야스쿠니 참배는 전몰자와의 약속”이라며 “총리와 각료, 총재 선거 입후보에 뜻을 둔 정치가들은 종전일과 춘추계 예대제 등에 참배해주면 좋겠다”고 제언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