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 인사 개입 등 의혹 규명
최근 검찰은 전 씨의 처남으로 일명 ‘찰리’라 불리는 김모 씨(56)가 대통령실 인사에 개입한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확보한 전 씨와 그의 딸의 문자메시지 기록에 따르면 2022년 7월 딸이 전 씨에게 “아빠,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과 시민사회수석실로 공문 발송했다고 합니다. 어제 통화한 행정관이랑 소통하고 있다고 합니다”라고 문자를 보냈다. 전 씨는 “직접 소통하면 돼. 신 행정관은 찰리 몫으로 들어간, 찰리가 관리하는데 언제든지 쓸 수 있어”라고 답했다. 전 씨 일가가 민원 해결에 언제든 대통령실 내 신 행정관을 동원할 수 있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검찰은 전 씨와 그의 부인, 딸, 김 씨 등 일가를 출국 금지한 상태다.
전 씨 측은 “신 행정관이 자신의 능력으로 대통령실에 들어간 것이지, 전 씨가 신 행정관 인사에 개입한 것이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전 씨는 올 1월 검찰 조사에서 “신 씨는 아는 사람은 맞는데 부탁한 건 없다”고 진술했다.● 전 씨 현금다발 출처 조사 중
전 씨가 네트워크본부에서 활동하게 된 배경에는 김 여사의 요청이 있었다는 주장도 제기된 바 있다. 전 씨 측근은 본보에 당시 김 여사가 “우리 남편이 대통령 선거에 나가니까 도와달라”고 전 씨에게 지원을 요청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1월 조사에서 전 씨로부터 “윤 전 대통령과 친분이 있다”는 취지의 진술도 확보했다. 윤 전 대통령은 네트워크본부 무속인 활동 논란이 일었던 당시 전 씨와의 관계에 선을 그었으나, 이같은 과거 해명과 배치되는 대목이다. 전 씨가 김 여사의 어머니 최은순 씨와도 지난해 10차례 통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7번은 최 씨가, 3번은 전 씨가 먼저 걸었다. 이들의 통화는 짧게는 1분여에서 길게는 1시간 48분까지 이어졌다.
이채완 기자 chaewani@donga.com
조승연 기자 cho@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