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 타운홀미팅
“해수부 이전·해사법원 설치
빈말 아냐…난 한다면 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빠르게 추진하겠다”며 연내 이전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부산 부경대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 ‘부산의 마음을 듣다’에서 “해수부 이전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속히 집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재수 해수부 장관을 향해 “연말까지 올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을 건넸고, 전 장관이 “올 수 있다”고 응수하자 좌중에서 박수가 터져 나왔다.
이 대통령은 해수부 이전에 그치지 않고 “해사전문법원 설치와 동남권 투자은행 설립도 최대한 시간을 줄여 추진하겠다”며 후속 조치 의지를 밝혔다. 전 장관은 “해수부 이전은 단순한 물리적 이동이 아니라 북극항로 시대에 맞는 항만 물류·해운 전략의 전진기지를 부산에 구축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특히 “조선·해운 산업과 정책·인재 인프라스트럭처, 정부 의지가 결합해 대한민국 남단에 또 다른 서울인 ‘해양 수도권’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수도권 과밀로는 지속 성장이 불가능하다”며 “이제 지역 균형발전은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과거에는 자원이 부족하다 보니 한 곳에 몰아주는 ‘몰빵식’ 압축 성장 전략이 유효했지만, 지금은 수도권은 미어터지고 지방은 소멸 위기에 놓인 구조”라며 “균형발전은 더 이상 정부의 배려 차원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지속적으로 살아남기 위한 국가적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북극항로 개척을 부산 발전 기회로 삼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그는 “기후변화로 북극항로 활용 가능성이 높아졌고, 부산은 항만 물류 중심 도시로서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부산을 동북아시아 물류 중심 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해 항만 물류 전략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정부 차원에서 실행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행사에 참석한 김경수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장도 “지방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산다”며 “부산이 해양수도로 도약하려면 해수부뿐 아니라 관련 공공기관, 기업, 대학이 함께 집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부·울·경은 수도권과 경쟁이 가능한 유일한 권역”이라며 “교통, 일자리 등 생활권을 먼저 구축해 권역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부·울·경 메가시티’ 구상을 소개한 것을 거론하며 “규모가 커져야 효율성이 높아지는 측면이 있다. 이 구상을 빠르게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일에는) 정부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 정치적 발언의 경우 선거가 끝나면 잊어버리는 ‘빈말’에 그치는 것이 습관이 돼 있더라”며 “그러나 저는 다르다. 한다면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이 대통령의 이날 타운홀 미팅과 맞물려 민주당의 이른바 ‘동진(東進)’ 전략도 정치권의 관심을 끌고 있다. 민주당은 대선 이후 부·울·경 신공항 예비타당성조사 재가동, 대구·광주 ‘달빛철도’ 패스트트랙 추진, 포항·구미 첨단산업 특화단지 예산안, 해수부 부산 이전 등 지역 맞춤형 정책을 잇달아 내놓으며 한반도 동쪽 권역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영남권 광역단체장 탈환을 노리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 대통령이 민주당 소속 부산의 유일한 현역 의원이었던 전재수 의원을 해수부 장관에 기용하고, 해수부 이전에 직접 드라이브를 거는 것도 전 장관의 부산시장 출마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