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 따지다가는 돈 못벌죠”…‘100만닉스’ 외친 증권가의 계산법은?

8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스피의 상승세로 인해 증권사들은 공격적으로 종목 목표주가를 올리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AI) 관련 기업들이 두드러진 성장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SK하이닉스는 기존의 PBR 방식 대신 PER 방식을 적용해 목표주가를 10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도 AI 투자로 인해 목표주가를 크게 올렸다.

이러한 움직임은 해외 경쟁사와 유사한 밸류에이션으로 목표주가를 책정하는 경향을 반영하며, 한국 기업들의 가치 평가가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성장주 급등세 따라잡기 위해
기존 이익추정치 상향서 탈피
밸류에이션 지표 변경해 대응
하이닉스·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PER방식 적용해 목표가 껑충
해외업체 밸류에이션 적용도

[연합뉴스]

[연합뉴스]

코스피가 상승세를 이어 가면서 증권사들은 종목 목표주가도 공격적으로 올리고 있다.

과거엔 목표주가를 올리는 방법에 흔히 이익추정치를 상향시키는 방법이 쓰였는데, 최근에는 밸류에이션 지표(멀티플)를 바꾸면서 목표주가를 대폭 올리는 증권사가 등장하고 있다. 기존처럼 이익이나 멀티플을 상향하는 방식으로는 계속 상승하는 종목 주가를 따라갈 수 없을뿐더러 해당 기업의 구조적 이익 창출력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선 밸류에이션 잣대 자체를 바꿔야 할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특히 성장세가 독보적인 인공지능(AI) 밸류체인 업종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13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최근 목표주가가 크게 올라간 종목인 SK하이닉스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이익추정치나 2027년 이후 이익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목표주가를 높였다. 그러나 최근 나온 80만원대 이상의 목표주가는 대부분 밸류에이션 방식을 바꾸는 방법으로 이뤄졌다.

기존 주가순자산비율(PBR) 3배 수준으로 목표주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는 SK하이닉스의 빠른 목표주가 상승을 따라가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SK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 산출을 PBR 대신 주가수익비율(PER)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100만원의 목표주가를 제시했다. SK하이닉스의 빠른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구조적인 메모리 사이클에선 PER이 더 적당한 배수라고 봤기 때문이다. 모건스탠리 역시 이 방식을 활용해 강세장에선 85만원의 주가도 가능하다고 봤다. 메리츠증권은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91만원으로 잡으면서 향후엔 PBR이 아니라 ‘사업별 평가가치 합산(SOTP)’으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기업가치엔 중장기 메모리 확정 계약 , 빅테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등 영업가치의 상승까지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설명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역시 주력 영업 기반의 변화를 반영한 밸류에이션 잣대가 바뀌면서 목표주가가 크게 뛰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올 하반기까지만 해도 화학업종으로 묶여 PBR이 0.5배 수준인 극심한 저평가 종목이었다. 배터리·화학업황 부진으로 5개 분기 연속 적자를 내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졌다.

그러나 3분기 실적 발표 후 2차전지용 동박 생산라인을 AI용으로 전환한다는 소식에 증권가는 목표주가를 크게 높였다. 내년까지도 적자 상황이 크게 나아지지는 않을 상황이지만 PER 밸류에이션 배수를 크게 높이 것이다. SK증권은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의 밸류에이션 배수를 AI 기판기업 PER 19배를 적용해 목표주가를 3만2000원에서 4만4000원으로 올렸다. 흥국증권도 2만9000원에서 3만7000원으로 목표주가를 올리며 밸류에이션 잣대를 반도체 소재기업 PER로 변경했다. 정진수 흥국증권 연구원은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AI 투자 사이클의 수혜주가 될 것”이라며 “전기차용 전지박 수요 부진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지지만 에너지저장장치(ESS) 및 AI 가속기용 동박이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실적 발표 후 상한가를 간 뒤에도 3거래일 상승을 이어 가 7일 2만4650원이던 주가는 13일 3만9900원까지 올랐다.

기존엔 코리아디스카운트를 감안해 해외 경쟁사에 비해 밸류에이션을 낮추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엔 해외 업체 평균과 비슷한 밸류에이션을 통해 목표주가를 올리는 경우도 많다.

SK증권은 반도체 소재업체인 솔브레인의 PER을 해외 소재업종의 평균인 17배를 적용해 목표주가를 25만원에서 35만원으로 올렸다. NH투자증권 역시 SK하이닉스를 마이크론과 동일한 PBR을 사용해 목표주가를 86만원까지 올리기도 했다.

한국투자증권은 LIG넥스원의 목표주가를 올리면서 주당순이익(EPS) 추정치도 높이고 목표 PER로 유럽 방산업체 2027년 PER 평균인 25배를 적용했다. 유럽 업체보다 빠른 성장률을 감안할 때 디스카운트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SK하이닉스

    000660, KOSPI

    612,000 - 0.81%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020150, KOSPI

    40,100 - 0.25%
  • 솔브레인

    357780, KOSDAQ

    277,000 + 0.73%
  • LIG넥스원

    079550, KOSPI

    412,500 + 2.23%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