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영향으로 하루 밀려 실시
수능과 동일 조건, 킬러문항 배제
대선으로 하루 연기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전국연합학력평가(모의평가)가 4일 시행된다. 이번 모의평가는 전국 고등학교 3학년생과 N수생이 함께 응시한다.
평가원에 따르면 6월 모의평가가 이날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2119개 고등학교와 511개 지정학원에서 동시에 실시된다.
응시생은 총 50만3572명이며 이중 고3 재학생이 41만3685명(82.2%), 졸업생·검정고시생이 8만9887명(17.8%)이다.
이번 모의평가 지원자 수는 관련 통계를 공식 발표한 2011학년도 이후 가장 많다.
재학생은 출생률이 이례적으로 늘었던 ‘황금돼지띠’ 2007년생이 고3이 되면서 전년보다 2만8250명 증가했고, 졸업생 수도 2011학년도 이후 최다이다.
6월 모의평가는 원래 전날인 3일 시행 예정이었으나 조기 대선 영향으로 하루 뒤인 이날 치러지게 됐다.
모의평가는 오는 11월 13일에 실시될 수능과 시험의 성격, 출제 영역, 문항 수 등이 모두 같다.
국어와 수학 영역은 ‘공통+선택과목’ 구조로 치러진다. 영역별 선택 과목은 수험생 본인이 고른 1개 과목에 응시하면 된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17개 과목 중에서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6월 모의평가를 통해 수험생들은 2026학년도 수능 출제 기조와 난이도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평가원은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없는 수능 기조를 이어가면서 EBS 연계율도 50%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의 경우 6월 모의평가는 킬러문항이 없었지만 너무 어려웠고, 반대로 9월에는 너무 쉬워서 수험생들이 상당한 혼란을 겪었다.
이번 6월 모의평가의 난이도는 비교적 ‘적정했다’는 평가를 받은 2025학년도 수능 수준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평가원에서 주관하는 올해 두 번째이자 마지막 시험인 9월 모의평가는 9월 3일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