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회비빔밥 먹었다가 설사에 근육통...남양주서 ‘이것’ 집단 감염

8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 남양주시의 한 식당에서 육회비빔밥을 섭취한 손님 29명 중 26명이 장출혈성대장균에 감염되어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의 검사 결과, 유증상자 21명 중 8명이 EHEC 병원체가 확인되었으며, 해당 음식점의 소고기와 육회비빔밥에서도 같은 병원체가 검출됐다.

방역당국은 감염원인 및 전파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음식점과 납품업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EHEC 감염증 예방을 위한 위생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 = 경기도]

[사진 = 경기도]

경기 남양주시의 한 식당에서 육회비빔밥을 먹은 손님들이 집단으로 장출혈성대장균에 감염돼 조사당국이 역학조사 중이다.

3일 경기도와 질병관리청 수도권 질병대응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19일 남양주 소재 음식점에서 육회비빔밥을 섭취한 29명 중 26명(89.7%)이 다음날부터 설사와 근육통 등의 증상을 호소했으며, 현재는 전원 증상이 완화된 상태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의 검사 결과 유증상자 검체 21건 중 8건에서 장출혈성대장균(EHEC) 병원체가 확인됐다. 해당 음식점에서 보관 중인 소고기와 육회비빔밥 재현식에서도 EHEC 병원체가 확인됐다.

다만 음식점 조리 종사자나 조리도구에서는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았다. 방역당국은 위험노출시기 내 추가 유증상자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경기도와 질병관리청(수도권질병대응센터)은 해당 음식점과 소고기 납품업체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감염원인 및 구체적인 전파경로를 확인할 예정이다.

EHEC 감염증은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에 의한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여름철(6~8월)에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이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2급 감염병이다. 감염 시 심한 경련성 복통, 오심(구역질), 구토, 미열, 설사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난다.

증상은 5~7일 이내 대체로 호전되지만, 환자의 10%(주로 10세 미만 소아나 노인)는 합병증인 용혈성요독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아에서의 치명률은 3~5%에 이른다.

주요 감염경로는 오염된 식품 또는 물의 섭취다. 특히 소고기나 생채소류를 통한 감염 및 집단발생 사례가 많다. 사람 간의 전파도 가능하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오염된 육류나 올바르게 세척되지 않은 야채류의 섭취가 EHEC 감염증의 위험요인으로 꼽힌다”며 “올바른 손씻기와 음식 익혀먹기, 위생적인 조리를 생활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