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각 분야 전문가 구성 품질안전검수단 출범…“건설현장 품질 제고”

1 week ago 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건설 현장의 품질과 안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품질안전검수단’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 검수단은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주요 건설 현장에서 체계적인 진단과 점검을 실시하며, 검수 결과를 바탕으로 품질 등급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LH는 또한 하반기에는 모바일 기반의 점검 시스템을 도입하여 실시간으로 자재 검수 및 결과 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3일 LH 경기남부지역본부 3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품질안전검수단’ 출범식에서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 LH]

3일 LH 경기남부지역본부 3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품질안전검수단’ 출범식에서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 LH]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건설 현장 관리 체계 강화와 품질·안전 수준 향상을 위해 ‘품질안전검수단’ 운영에 들어간다.

3일 LH에 따르면 품질안전검수단은 품질·안전·구조·토질·기계 등 건설 관련 분야별 외부 전문가로 구성됐다. 이들은 주요 건설 현장에 투입돼 품질·안전에 대한 체계적 진단과 점검을 수행하게 된다.

LH는 검수단의 점검 결과를 토대로 각 현장의 품질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건설 현장별 품질등급 구분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올 하반기 중 종이 서류 중심의 점검 방식이 아닌 현장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해 자재 검수, 자율점검 결과 등을 등록할 수 있도록 모바일 기반 점검 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상조 LH 스마트건설안전본부장은 “품질안전검수단을 통해 건설 현장별 정확한 진단과 점검으로 현장별 필요한 컨설팅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품질 등급 구분 모델을 마련해 현장 책임 의식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