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과징금 ‘판매액’ 기준으로…노력하면 최대 75% 감면

6 hours ago 2

경제

ELS과징금 ‘판매액’ 기준으로…노력하면 최대 75% 감면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융당국은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 사태와 관련해 과징금 부과 기준을 ‘판매금액’으로 명확히 설정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수조원대의 과징금이 부과될 가능성이 크며, 은행별 판매 금액도 공개됐다.

은행권의 배상 노력을 반영해 최대 75%까지 감경이 가능하지만, 감경 최대 한도는 설정되어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와 관련해 그동안 논란이 됐던 과징금 부과 기준을 ‘판매금액’으로 명확히 했다. ‘수수료 수익’을 기준으로 해달라는 금융권 입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수조원대 과징금 부과는 불가피해졌지만, 배상 노력에 따라 최대 75%까지 깎아줄 수 있다는 부과율 기준도 함께 넣어 균형을 맞췄다.

21일 금융위원회는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령 및 감독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과징금 산정 세부 기준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논란이었던 과징금 기준은 은행권 주장처럼 ‘수수료 수입’이 아닌 ‘거래(판매)금액’으로 명확하게 시행령과 감독규정에 반영했다. 이에 따라 과징금 규모는 기존에 책정된데로 수조원대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은행별로는 KB국민은행은 8조원어치를 팔았고, 신한·하나·농협은행도 2조원대를 판매했다. 우리은행만이 400억원대로 적다.

다만 감경사유를 다양하게 설정했다. 소비자보호 실태평가나 내부통제, 재발방지 등 노력에 따라 최대 30~50%까지 깎아주고, 중복 감경도 가능하다. 다만 여러 조건을 맞춰도 최대 감경한도는 75%로 제한했다. 금융권에선 은행권의 배상노력에 따라 과징금규모가 당초 예상됐던 7조~8조원에서 2조원 안팎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본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