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L바이오, 英에 4조원 플랫폼기술 수출

4 days ago 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이오벤처 에이비엘바이오가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4조원 이상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뇌혈관장벽(BBB) 투과 플랫폼 기술인 '그랩바디-B'를 글로벌 시장에 제공하게 되었다.

이번 계약은 에이비엘바이오가 특정 후보물질이 아닌 플랫폼 기술을 수출한 첫 사례로, 플랫폼 사업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계약에 따라 에이비엘바이오는 계약금 및 마일스톤 등 최대 4조원에 달하는 수익을 확보할 예정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 GSK와 계약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
알테오젠 이어 역대 2위 기록

사진설명

바이오벤처 에이비엘바이오가 4조원이 넘는 초대형 글로벌 기술수출에 성공했다. 기술수출 대상은 뇌혈관장벽(BBB) 투과 플랫폼 기술인 '그랩바디-B(Grabody-B)'다. 에이비엘바이오가 특정 후보물질이 아닌 '플랫폼 기술'을 수출한 첫 사례로, 이번 계약을 기점으로 플랫폼 사업화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그랩바디-B를 기반으로 새로운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두 회사는 다양한 방법(모달리티·modality)의 신규 표적 기반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주요 접근방식은 siRNA(짧은 간섭 RNA), ASO(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항체 등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그랩바디-B 관련 기술과 노하우 등을 이전하고, GSK는 전임상 및 임상 개발, 제조, 상업화를 담당한다.

최근 BBB 셔틀 기술은 중추신경계(CNS) 질환 치료제 개발의 핵심 요소로 여겨진다. BBB는 몸속에서 유해한 물질과 인자가 뇌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이 회사의 그랩바디-B는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IGF1R)를 통해 약물이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해 뇌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해준다.

앞서 2022년 에이비엘바이오가 사노피에 기술이전한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도 그랩바디-B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후보물질이다. 당시 기술수출 역시 계약금 1000억원을 포함해 총 1조4700억원에 달하는 대형 계약이었다. 사노피는 전임상 단계에서 ABL301을 도입해 현재 임상 1상의 막바지 단계를 진행 중이다.

이번 계약에 따라 에이비엘바이오는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기술료)으로 최대 1480억원(약 7710만파운드)을 수령할 예정이다. 계약금만 739억원(약 3850만파운드)에 달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허가 및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최대 3조9623억원(약 20억6300만파운드)과 함께 순매출에 따른 단계별 로열티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이는 2020년 알테오젠이 미국 머크(MSD)와 체결한 4조7000억원의 기술수출 계약에 이어 국내 바이오업계 역대 두 번째 기록이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는 "퇴행성 뇌질환 환자가 지속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번 파트너십이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고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술수출 소식에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날 장 개시 후 상한가로 직행해 전일 대비 29.96% 오른 4만42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시가총액은 2조1474억원을 기록했다.

뇌혈관장벽(BBB)

높은 선택적 투과성을 갖고 있어 뇌와 혈액을 격리시키는 혈관 장벽. 세균 등 혈액으로 운반될 수 있는 병원체와 혈액 내의 잠재적인 위험 물질로부터 뇌와 중추신경계의 조절 기능을 격리시켜준다. 꼭 필요한 기능이지만, 뇌 관련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들에는 이를 통과하는 것이 과제로 여겨진다.

[김지희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