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붕괴해 추가 피해가 우려되면서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2300여 명의 주민이 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건표 광명소방서 화재예방과장은 이날 현장 브리핑을 통해 “2차 피해에 대비해 인근 푸르지오 아파트 642세대 2300여 명을 시민체육관을 포함한 8곳으로 대피시켰다”고 밝혔다.
이어 “교통 통제 구간은 광명 양지사거리부터 안양 호현삼거리”라며 “오후 6시 31분 한국전력공사에서 전기를 차단했고, 오후 7시께 삼천리(도시가스)에서 가스를 차단했다”고 전했다.
또한 “(구조해야 할 2명 중) 연락이 닿은 1명에 대해서는 크레인을 진입시켜 구조하고 있고, 다른 1명은 연락이 두절돼 소방 인력을 총동원해 수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립된 근로자에 대한 구조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점에 관해서는 “(요구조자가 위치한) 현장이 (지하) 30m가 좀 넘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안전이 최우선이어서 중장비를 쉽사리 투입하지 못해 늦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성해 국가철도공단 이사장은 “내일 비가 예정돼 있어서 현장에 방수포와 펌프, 마대 등 수방 장비를 동원해 강우에도 철저히 대비하겠다”며 “사고 수습에 있어 가장 역점을 두는 것은 안전”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오후 3시 13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 내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붕괴해 1명이 실종되고, 1명이 고립됐다.
사고에 앞서 오전 0시 26분께 현장 관계자들은 광명시청에 ‘붕괴 우려’를 신고해 주변 도로가 통제되고 보강공사 및 안전진단이 이뤄졌다. 하지만 신고 15시간여 만에 실제로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