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통계조사원의 안전 사고가 500여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매년 조사원을 상대로 한 폭언, 성희롱 사건 등도 끊이지 않았다. 내일부터 '2025 인구주택총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가운데 조사 요원의 인권 보호를 위해 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국가데이터처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 6월까지 통계조사원(상시 조사)이 당한 안전사고 건수는 537건을 기록했다. 교통사고(435건)가 가장 많았고, 개물림(21건) 벌쏘임(4건) 넘어짐(68건) 기타 부상(9건) 등 순이었다.
조사원을 대상으로 한 인권 침해 행위도 잇따랐다. 폭언이 23건이었고, 성희롱(3건) 폭행(1건) 조사표 훼손(4건) 기타(15건) 등 5년간 46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내일(21일)부터 인구주택총조사가 시작되는 가운데 조사원을 상대로 한 범죄 등이 없도록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구주택총조사는 1925년 첫 실시한 이래 100년간 이어져 온 국가 통계의 핵심 기반이 되는 조사다.
통계학계에서는 '통계 중의 통계'라고 불릴 만큼 표본 규모와 정확성이 가장 높은 조사로, 5년에 한번 시행된다. 통계청은 올해 조사에 대비해 2022년 1차 시험 조사에 이어 2023년과 2024년 2차 시험조사와 3차 시범 예행조사를 각각 시행한 바 있다.
그러나 인구주택총조사 역시 조사에 불응하거나 조사원에 배타적인 태도를 보이는 국민이 늘면서 시험 조사 결과 응답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게 박 의원의 지적이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응답률은 97.8%, 불응률은 1.0%였으나, 2020년 조사에서는 각각 96.3%, 1.1%를 기록했다.
박 의원은 "조사 현장에서 폭언·폭행 등 인격적 피해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응답률 제고와 함께 조사원들의 인권을 보호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