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새 프랜차이즈 본사 매출만 늘었다…가맹점은 '울상'

4 weeks ago 5

[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국내 프랜차이즈 업종에서 최근 3년 사이 본사 매출은 늘었지만 가맹점 매출은 줄어들면서 본사와 가맹점 간 불균형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마포구 CU 홍대상상점 라면 라이브러리를 찾은 고객이 라면을 살펴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날 한국무역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10일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 시스템과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커피 및 음료·치킨·피자·편의점·제과제빵·외식·화장품 등 7개 업종의 가맹 본부와 가맹점의 3년치 현황을 분석한 결과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는 2022년 8만7108개에서 지난해 9만2885개로 6.6% 증가했다.

이 기간 가맹 본사 매출액은 43조1565억원에서 47조7963억원으로 10.8% 증가했다. 반면 가맹점 매출액은 3억2723만원에서 3억248만원으로 7.6% 줄었다.

7개 업종 중에서는 피자 업종에서 본사와 가맹점 간 불균형이 가장 컸다. 7개 피자 프랜차이즈 본사의 매출이 4189억원에서 1조1193억원으로 66.5% 증가한 반면, 가맹점은 3억5381억원에서 3억1163만원으로 11.9% 감소했다.

외식 업종 역시 54개 본사 매출이 29.7% 증가하는 동안 가맹점의 평균 매출액은 같은 기간 16.4% 줄었다. 제과제빵은 8개 본사 매출이 5.0% 증가한 반면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18.7% 감소했다.

한편 커피 및 음료 업종에서는 유일하게 가맹점 수와 매출액이 동시에 성장했다. 본사 매출액은 2조9563억원에서 3조9447억원으로 33.4% 증가했고, 같은 기간 가맹점당 연평균 매출액도 14.1% 늘었다.

가맹점이 가장 많은 업종은 편의점으로, 지난해 편의점 가맹점 수는 5만5331개를 기록했다. 이중 CU(1만8458개)가 가장 많았다. 가맹점당 연평균 매출액이 가장 높은 곳은 테이스티코리아의 중식당 매란방으로, 지난해 기준 11억4680원이었다.

리더스인덱스는 “외식, 치킨, 피자, 편의점 업종에서 가맹점 수는 증가하는데 점포당 매출액은 감소하는 시장 포화의 전형적 문제가 나타났다”며 “3년간 프랜차이즈 업계의 성장 불균형이 한층 심화했다”고 분석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