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질긴 암 재발에 삶 포기까지
근력운동으로 심신 건강 되찾아
입 안과 턱, 목 부위에 암이 잇따라 재발하자 삶을 포기하려 했던 한 소년이 있었다. 10차례가 넘는 수술을 견뎌낸 그는 이제 자신처럼 투병 중인 환우들에게 희망을 전하고자 나섰다.
운동을 통해 암을 극복해보자는 마음가짐으로 ‘턱걸이 챔피언’이란 타이틀까지 얻게 된 김동호(23) 군의 희망 스토리가 7일 서울아산병원 유튜브 채널에 공개됐다.
김 군이 처음 이상을 느낀 건 일곱 살 때였다. 입 안이 부어 오른 탓에 어머니 손을 잡고 충남 서산의 집 근처 병원을 찾았다. 소아과와 치과를 거쳐 방문한 이비인후과에서 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를 권유받았고 곧바로 “큰 병원으로 가보라”는 말을 들었다.
입안을 붓게 만든 원인은 두경부 지방육종이었다. 두경부 지방육종은 지방세포에서 종양이 생기는 희귀질환이다. 김군은 입과 목에 생긴 종양을 제거하는 고난도 수술을 받았지만 종양은 계속 재발했다.
종양이 생긴 위치가 얼굴인 만큼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한 번이면 끝날 줄 알았던 수술이 두 번, 세 번 이어지자 해당 병원에서는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다’며 동호를 포기했다.
절벽 끝에 선 김 군의 가족은 마지막 희망을 안고 2014년 1월 서울아산병원을 찾았다. 반복된 수술로 김군의 얼굴은 많이 손상되어 있었고, 마음까지 지친 상태였다.
‘꼭 도와주고 싶다’는 고경남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종양혈액과 교수를 비롯해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방사선종양학과 등의 협진이 이어졌다.
덕분에 김 군은 수술과 항암, 방사선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그럼에도 김 군의 입안 종양은 끈질기게 재발했고, 커진 종양은 얼굴뼈를 밀어냈다. 결국 얼굴 오른쪽 신경이 끊어져 편마비가 오기도 했다.
아무리 견뎌내도 죽지 않은 암 때문에 세상을 포기하려는 모진 결심도 했다. 지친 마음에 아파트 옥상까지 올라갔던 그 때, 간신히 마음을 다잡은 김 군은 ‘운동을 해보자’는 결심을 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체육 선생님이 건넨 조언이 떠올랐던 것이다.
방문에 철봉을 달아 하루 한 두 시간씩 집에서 턱걸이 연습을 이어갔다. 무언가에 몰두하는 것만으로도 큰 위안이 됐고 운동은 그의 몸과 마음 모두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하루 1~2시간씩 집에서 턱걸이 연습
몸과 마음 모두 긍정적으로 변했죠
근력운동을 시작한 뒤 김군의 체격은 눈에 띄게 좋아졌고 움츠러들었던 마음도 점차 회복됐다. 무엇보다 다행인 것은 이전처럼 종양이 빠르게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항암이나 약물치료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았고 매년 한차례 종양 제거 수술만 받으면 될 만큼 상태가 호전됐다.
2020년 7월. 그렇게 또 한 차례의 수술을 받기 전날, 온라인 턱걸이 대회가 개최된다는 소식에 김군은 턱걸이 영상을 찍어 출전했다. 다음날 수술이 끝난 동호에게 전화 한통이 걸려왔다.
“김군이 턱걸이 대회에서 1등을 했습니다. 축하합니다!” 건장한 신체의 청년들과 대결한 턱걸이 대회에서 동호가 1위를 차지했다는 소식이었다.
얼굴 종양 때문에 남의 시선을 두려워했던 김군이 이를 극복하고 ‘턱걸이 챔피언’이 된 희망적인 이야기에 사람들의 응원과 칭찬이 쏟아졌다. 그는 자신의 이야기가 다른 질병을 앓고 있는 환우들에게 힘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투병 스토리를 적극 알리기로 결심했다.
김군은 “치료의 고통이 스스로를 더 강하게 만들었다”며 “의료진의 노고 속에서 무사히 자랐기 때문에 그만큼 가치있는 목숨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나도 교수님들처럼 다른 사람을 위해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사람이 되겠다”며 “고통을 겪고 계신 환우분들, 절대 포기하지 마시고 같이 파이팅하자”고 말했다.
고 교수는 “처음 병원에 왔을 때 힘들어하고 왜소했던 동호가 언젠가부터 진료실에 들어올 때마다 점점 더 건장한 청년이 돼와서 매번 놀랐다”며 “반복되는 수술과 재발은 신체적으로도 고되지만, 사실 심리적으로도 많이 위축되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이어 “동호가 힘든 치료 과정을 이겨내고 ‘턱걸이 챔피언’까지 돼줘 진심으로 고맙고 존경스럽다”고 덧붙였다.
서울아산병원은 병을 극복한 환우들의 투병기를 통해 희망을 나누는 ‘리얼스토리-희망을 나눕니다’ 캠페인을 2013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지난 12년간 35명의 환우들이 ‘리얼스토리’를 통해 본인의 투병 이야기를 기부하며 희망을 나누고 있다. 캠페인은 서울아산병원 유튜브, 인스타그램, 뉴스룸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