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8명 ‘공공의대 설립 찬성’ … “정부, 지역 간 의료 인력 불균형 해소” 시급

6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공공의대 설립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으며, 찬성률은 83.1%에 달했다.

또한, 지역 필수의료 확보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정부의 책임을 지지하는 의견도 83.1%로 나타났다.

보건의료노조는 국민의 압도적인 지지에 따라 새 정부가 즉각적으로 공공의대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난 2일 숭례문 일대에서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지난 2일 숭례문 일대에서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공공의대 설립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7일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여론조사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 1~2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새 정부 정책과제 등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의사 인력 확충과 양성 시스템 개선을 위해 공공의대를 설립하는 방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83.1%을 기록했다. ‘반대한다’는 응답은 12.9%에 그쳤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인천, 전남, 전북에 공공의대를 설립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같은 조사에서 ‘지역 필수의료 확보와 감염병 대응을 위해 정부가 공공병원 의사 인력 부족과 재정 적자를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83.1%가 찬성 입장을 밝혔다.

간병비 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에도 81.8%가 찬성했다.

한편 ‘병원 인력 수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63.4%가 ‘부족하다’고 답했고, 89.2%는 이 같은 인력 부족이 ‘환자 안전과 의료서비스 질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데 공감했다.

병원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우선 수행해야 할 역할로는 ‘지역 간 의료인력 불균형 해소’(39.5%), ‘의대 정원 확대 등 의사 인력 증원’(36.3%), ‘간호사,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등 의료진의 근무 환경 및 처우 개선’(21.5%) 등이 꼽혔다.

보건의료노조는 “압도적 다수의 국민이 찬성한 만큼 새 정부는 더 이상 미루거나 주저앉지 말고 공공의대 설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