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년만에 강등한 미국 신용등급…한국증시에 미칠 영향은

5 days ago 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와 피치에 이어 무디스도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면서 한국 증시에 미칠 영향이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신용등급 하락이 예고된 단기적 요소로, 국내 증시에 미치는 파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기 부양 의지와 미국의 정책 방향이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예고된 강등’ 성격 강해
밸류에이션 부담 덜 해

지난 1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지난 1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에 이어 무디스마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면서 한국 증시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미국 신용등급 하락이 부정적인 것은 분명하지만 예고된 단기성 재료여서 국내에 미칠 파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향후 미국 정부의 대응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향방이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신용등급 하락만으로는 과거와 같은 큰 충격은 없을 전망이다.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직후인 2023년 8월 2일 코스피는 1.9% 하락한 2616.47에 마감했다. 같은 날 코스닥 지수는 3.18% 하락률을 기록했다. S&P가 3대 국제신용평가사 중 가장 먼저 미국의 등급을 내렸던 2011년 8월 2일에는 코스피가 3.82% 떨어졌다.

하지만 이번에는 ‘예고된 강등’의 성격이 강하고 밸류에이션(평가 가치)도 낮아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 2011년에는 유럽 재정 위기의 파고가 글로벌 증시를 덮친 상황에서 S&P는 미국의 부채 상한 증액 협상 타결에도 신용등급과 전망을 동시에 내렸다. 피치가 신용등급을 조정한 2023년에는 피치가 신용등급을 내리기 2개월 전에 먼저 전망을 조정하면서 증시에 미친 충격이 덜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에는 무디스가 1년6개월여 만에 ‘예고성 강등’을 했고 관세 불확실성도 완화된 상태”라며 “2011년과 2023년에는 코스피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에서 0.9배 중후반이었으나 지금은 0.8배까지 내려와 밸류에이션 부담도 덜하다”고 말했다.

오히려 증권가에서는 중국의 경기 부양 의지와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장기적으로는 신용등급 조정보다는 실제 경제 펀더멘털과 각국의 정책 방향이 시장에 더 큰 영향을 준다”며 “미국의 지속적인 재정 적자와 이자 비용 증가 우려는 이미 시장에서 반영해왔던 리스크”라고 분석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