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TV·오디오·노트북 제품 관련 사업을 맡는 MS사업본부 50대 직원과 저성과자를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단행한다. 경영상 불확실성이 커지자 인력 구조조정 등을 통해 대응에 나섰다는 관측이다.
18일 업계 등에 따르면 LG전자는 MS사업본부 만 50세 이상 직원·저성과자를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희망퇴직자에겐 최대 3년치 연봉에 해당하는 위로금과 자녀 학자금이 지급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LG전자는 2022년, 2023년에도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MS사업본부를 대상으로 한 희망퇴직은 다음 달 중 진행될 전망이다. 나머지 사업본부에서도 희망퇴직이 단행될지 여부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LG전자는 '젊고 힘 있는 조직'을 모토로 삼고 희망퇴직 등을 활용해 조직 내 인력 선순환을 추진해 왔다. 이를 위해 만 50세 이상 퇴직을 앞둔 직원에겐 창업·기술 교육을 제공하는 '브라보마이라이프'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업계 일각에선 올 2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영향으로 인력 감축이 단행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LG전자는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6% 감소한 6394억원에 그쳤다. MS사업본부는 이 기간 영업손실 1917억원을 기록했다.
LG전자는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물류비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최근 악화됐다. 여기에 중국 업체들이 저가 공세를 한층 강화한 영향도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LG전자는 지난 14일 반기보고서를 통해 상반기 TV 평균 판매가격이 지난해보다 2.5% 떨어졌다고 밝혔다. 모니터와 사이니지 평균 판매가격도 이 기간 각각 1.8%, 3.6%씩 하락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