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3일 개최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생애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을 두고 설전을 벌였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해당 영화가 역사적 사실을 왜곡했다고 비판했고, 제1야당인 국민의힘은 영화진흥위원회가 건국전쟁을 독립영화로 인정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박수현 민주당 의원은 “건국전쟁은 제주 4·3과 관련해 국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역사적인 사실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작품”이라며 “이렇게 명백한 사실을 왜곡한 작품의 경우 심의 대상에서 원천 배제하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민형배 의원 역시 건국전쟁 속편이 ‘12세 이용가’라는 점을 지적하며 “위법한 사실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시하는데, 청소년들이 스크린을 보고 사실로 받아들이지 않겠느냐. 영상물등급위원회는 혹시 극우 육성기관이냐”고 날을 세웠다.
반면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은 “건국전쟁이 독립영화 (승인을) 신청했다가 결국은 승인 못 받았는데, 그 과정에서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 있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영진위가 (건국전쟁의 독립영화) 승인을 사실상 번복하고, 흥행 통계에서도 건국전쟁을 제외했다가 수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건국전쟁을 제작한 김덕영 감독은 이날 국감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건국전쟁은 1·2편 모두 객관적 사실에 기초해 진실을 탐구한 영화라 자부한다”며 “2030 세대들이 굉장히 열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감독은 ‘건국전쟁 2가 잘 안된 게 이재명 정부 탓이냐’는 질문에 “그런 부분도 상당히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이에 양문석 민주당 의원이 “어디서 그런 거짓말을 하고 화풀이하느냐”고 언성을 높였고, 김 감독이 “모욕”이라고 반발하며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국회 문체위원장인 김교흥 민주당 의원은 김 감독을 향해 “왜 영화 장사 안된 것을 정부 탓으로 돌리느냐”며 “앞으로는 그런 사고를 가지고 영화를 만들면 안 될 것 같다”고 질타했다.
반면 문체위 야당 간사인 박정하 국민의힘 의원은 “영화에 대한 판단은 결국 국민이 하는 것인데, 참고인을 거짓말쟁이라 규정하고 답을 강요하는 식의 질의가 더러 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조은희 의원도 “참고인이 나름대로 해명하는 것을 윽박지르듯이, 죄인 다루듯이 하는 것은 국회의원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것”이라고 거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