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엣나인필름’ 주희 마케팅총괄이사
내달 日서 ‘커뮤니티시네마페스티벌’
韓영화 소개-예술영화 의미 되새겨

요즘 애니메이션에 다소 밀리는 분위기지만, 일본 영화에 관심 있는 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국내에서도 상당한 호평을 받았던 일본 독립영화들. 이 영화들을 보며, 10여 년간 일본에서 영화학을 공부했던 ‘엣나인필름’의 주희 기획마케팅총괄이사(55)는 문득 궁금했다고 한다.
“최근 한국 독립영화는 일본에서 주목받고 있을까?”
그 질문에서 출발한 행사가 ‘커뮤니티시네마페스티벌’이다. 일본 관객에게 아직 소개되지 않은 한국 독립영화를 선보이는 자리다. 일본 커뮤니티시네마센터와 한국예술영화관협회가 손을 잡고 다음 달 9일부터 20일간 일본 오사카, 후쿠오카에 있는 예술영화관 5곳에서 진행한다. 28일 서울 예술영화관 아트나인에서 만난 주 이사는 “좋은 한국 영화들이 일본 시장에 소개될 수 있는 쇼케이스장이 됐으면 한다”고 했다.현지에 소개할 작품은 ‘성적표의 김민영’(2022년), ‘절해고도’(2023년), ‘장손’(2024년) 등 3편이다. 모두 한국예술영화관협회가 3년째 진행 중인 시상식에서 국내 작품상을 받은 영화들이다. 여기에 영화관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무너지지 않는다’, ‘미스터 김, 영화관에 가다’도 더해졌다.
주 이사는 ‘요즘 한국 독립영화의 완성도가 떨어졌다’는 평가를 부정하진 않았다. 그러나 적은 예술영화관 수, 짧은 개봉 기간 등 구조적 한계가 더 큰 문제라고 했다. 그는 “일본은 한 영화가 도시 상영을 마친 뒤 지방 순회까지 2∼3달 동안 상영이 이어지는 반면, 한국은 2∼3주면 끝이 난다”고 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예술영화관은 66개뿐이다. 일본은 140개(지난해 9월 기준)에 이른다.
이번 페스티벌은 예술영화관의 의미를 되새기는 자리이기도 하다. 1995년 동숭시네마텍에서 출발한 한국 예술영화관은 2010년대 ‘박화영’ ‘메기’ ‘벌새’ 등 화제작으로 활기를 띠었다. 하지만 팬데믹을 거치며 급격히 위축됐다. 29일 문을 닫는 CGV 명동역 씨네라이브러리가 대표적이다. 국내 최초로 영화 전문 도서관을 함께 운영하며 시네필의 상징적 공간으로 버텨 왔지만, 결국 10년 만에 폐관한다. 그렇다고 주 이사가 예술영화관의 미래를 비관적으로만 보는 건 아니다. 재상영을 통해 관객의 ‘극장 경험’을 새로이 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 주 이사는 “요즘 관객은 새로운 콘텐츠를 보기보단 ‘콘텐츠를 제대로 느끼기 위해’ 극장을 찾는다”며 “멀티플렉스가 돌비나 4DX 같은 체험형으로 전환한다면, 독립영화관은 취향이 뚜렷한 영화들을 재소개하면서 관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김태언 기자 bebor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6 hours ago
1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