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타결 임박 와중에 뒤통수…EU 보복관세 시사

8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이 멕시코와 유럽연합(EU)에 대해 상호관세를 인상하면서 양측 간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으며, EU는 미국의 30% 관세 부과에 대해 협상 지속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합의 도달 실패 시 통상위협대응조치(ACI)를 포함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대응 수단을 논의 중이다.

한편, 미국의 관세수입은 전년 대비 4배 증가한 272억 달러로, 무역기술 장벽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트럼프식 흔들기에 갈등 고조
8월1일까지 협상문 열어놓되
"비례적 대응 등 전방위 조치"
동맹 상관없이 무차별 폭격에
美 6월 관세수입 4배 폭증

◆ 트럼프 압박 고조 ◆
미국이 멕시코와 유럽연합(EU)에 관세 폭탄을 투하하면서 양측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실망한 우방국들은 2차 유예 시한인 8월 1일까지 최대한 협상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불편한 속내를 감추지 않고 있다.

특히 EU는 무역 협상 타결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제기됐지만 협상 중에 30% 상호관세를 일방 통보받았다. 이는 미국이 지난 4월 상호관세율을 처음 발표할 당시 20%보다 10%포인트 상향 조정된 것이다. 12일(현지시간)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30%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해 "우리는 8월 1일까지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계속해서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필요하다면 비례적 대응 조치 채택을 포함해 EU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처를 할 것"이라며 보복관세에 나설 수도 있다고 맞섰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엑스(X)에 "8월 1일까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통상위협대응조치(ACI)를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한 대응책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ACI는 제3국이 EU에 통상 위협을 가하면 서비스, 외국인직접투자(FDI), 금융시장 등 모든 무역에 제한을 가할 수 있는 조치다.

멕시코는 협상에 방점을 찍으면서도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이날 "우리는 몇 달 전부터 이런 일들을 경험해왔다"며 "미국 정부와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멕시코 정부는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에 대해 "불공정한 거래"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은 역대 최대 관세수입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날 미국 재무부는 6월 관세수입이 272억달러였다고 밝혔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6월 정부의 총세입도 전년보다 13% 늘어난 5260억달러에 달했다. 월간 기준 사상 최대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경제 주권을 되찾기 위해 열심히 싸우는 와중에 관세수입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강조했다. 관세수입이 껑충 뛰면서 관세는 이제 소득세와 법인세에 이어 미국의 3대 세수가 됐다. 지난해 10월 1일 시작된 2025회계연도에서 9개월간 관세수입도 총액 1133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무역 장벽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올 상반기 무역기술 장벽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 세계 각국이 자국 우선 통상 정책을 펼치고 있는 까닭으로 풀이된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이 통보한 기술규제는 총 2195건이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한 수준이다.

[뉴욕 임성현 특파원 / 서울 김덕식 / 신유경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