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것도 없는데 비싸기만 한 국내 대신 해외로 떠납니다."
우리 국민의 해외여행 선호가 높아지면서 국내 여행산업 붕괴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국내 여행과 해외여행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는 '살거리'와 '물가'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내여행지는 물가도 비싸고 살만한 물건이 부족하지만 해외여행에서는 물가가 저렴한 데다 살 만한 물건이 많다는 인식이 높다는 것이다. 이 같은 인식 확산으로 국내 여행 침체 확대, 해외여행 급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소비자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최근 2년 내 국내·해외여행을 모두 경험한 1006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국내·해외여행의 만족·불만족 원인 탐색 조사'에 따르면 여행 만족도를 좌우하는 주요 요소는 여행지의 콘텐츠(여행 자원)와 인프라(여행 환경)로 나타났다.
국내 여행에서는 △먹거리(+13%P) △쉴거리(+10%p) 교통(+10%p) △편의시설(+7%p)등이 해외여행을 앞섰고, 해외여행은 살거리(+13%P) △놀거리(+6%p), △물가(+14%p)에서 우세했다.
불만 요인으로는 국내 여행에서 △살거리(11%p) △할거리(7%p) △놀거리(6%p), △물가(22%p) △상도의(14%p) △교통(8%p) 등 총 6개에 달했다. 이는 다음 여행에서도 같은 우려로 이어지면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여행에서는 △현지인·소통(+32%p) △청결·위생(+15%p) △안전·치안(+13%P) 등이 주요 불만 요인으로 나타났다. 모두 낯선 환경에서 발생하는 불편함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국내 여행 단점으로 꼽힌 '살거리'와 '놀거리'는 '물가'와 함께 해외여행의 최대 강점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해외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쇼핑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국내 여행 비용 대비 더 큰 만족감을 준다는 것이다. 앞서 '국내 갈 돈이면 해외여행 간다'는 등 해외여행 1일 비용으로 국내 여행 2박3일보다 더 많은 돈을 지불하면서도 '국내는 비싸다'는 인식이 자리를 잡았다.
국내 여행에서 '바가지 물가', '서비스 품질 불만'등으로 먹거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했지만, 만족도와 기대도(각각 66%)가 국내 여행에서 가장 큰 우세 요소로 나타났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논란이 확대 재생산되면서 일부 부정적 경험이 전체적인 이미지를 왜곡하고, 소비자의 불신을 초래하고 있지만 국내 여행에서 가장 경쟁력 있고 유망한 콘텐츠라는 의미다.
컨슈머인사이트는 "비싼 물가, 비양심적인 상도의의 전형인 양 인식된 결과"라면서도 "먹거리가 해외여행 대비 만족과 기대 측면에서 경쟁우위 1위 요소라는 점은 국내 여행 부활의 활로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걸게 한다"고 분석했다.
업계에서는 국내 여행산업 활성화를 위해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강화하고, 경쟁력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먹거리가 국내 여행의 강점으로 꼽히는 만큼 이를 활용한 차별화된 상품 개발이 중요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여행소비자들은 여행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하고, 설레는 분위기를 즐기며 다녀온 후에도 추억과 이야깃거리를 남기고 싶어 한다"며 "저렴하면서도 매력적인 먹거리를 즐기고, 사진을 남기고 추억을 담고 이야깃거리를 만들 수 있다면 훌륭한 여행상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