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패스, 국내 최초 스테이블코인 해외송금·정산 시스템 설계 착수···“법제화만 남았다”

14 hours ago 1
한패스 사업구조한패스 사업구조

한패스(대표 김경훈)가 스테이블코인과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해외송금·정산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국회에서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시도가 이어지는 가운데, 민간사업자가 실물 서비스 구축에 들어간건 최초다. 스테이블 기반 송금 시대가 곧 열릴 전망이다.

29일 한패스는 스테이블코인 해외송금·정산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고객이 해외송금을 요청하면 한패스는 스테이블코인을 해외 파트너사에 실시간 전송하고, 해당 국가에서는 이를 현지 통화로 즉시 환전·지급하는 서비스를 갖춘다.

한패스는 스테이블코인 해외송금·정산을 통해 기존 프리펀딩(해외 파트너(MTO)에 일정 금액을 사전 예치 후, 고객 송금요청이 있을 때마다 MTO가 수취인에게 송금액을 지급) 방식이 갖는 유동성 부담, 자금 효율성 저하, 정산 지연 등 구조적 한계를 보완할 계획이다.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결제망과 연동 가능성도 염두에 둔다.

프로젝트를 위해 내부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금융 IT 박사급 인력, 블록체인 엔지니어, 글로벌 가상자산거래소 출신 규제 전문가 등으로 팀을 짜 △스테이블코인 활용 구조 △스마트컨트랙트 연계 △소비자 보호 및 리스크 관리 요건 등을 종합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컴플라이언스(준법경영) 조직과도 긴밀히 협업해, 제도 변화에 즉시 대응 가능한 기술 인프라를 구현한다. 기술과 제도, 운영이 통합된 아키텍처를 설계하겠다는 것이다.

스테이블코인 해외송금·정산 시스템 개발과 함께 거래 매칭 자동화, 이상탐지, 정산 리포트 생성 등 해외송금 업무 전반 프로세스를 AI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특히 은행 거래내역과 기업 전산원장 간 데이터는 정형화 알고리즘으로 자동 매칭하고, 이후 단계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고차원 후처리 기능을 도입한다. AI가 미정산 항목을 자동 분류하고, 이상거래 탐지와 설명 메시지를 생성해 정산 담당자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AI 기반 자동 정산 시스템(Intelligent Reconciliation System)'을 단계적으로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김정수 한패스 경영기획담당이사는 “국회와 정부가 마련 중인 디지털자산 2단계 입법에 선제 대응하고 실사용 중심 기술 기반 인프라를 고도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면서 “AI 기반 자동 정산 시스템과 스테이블코인 활용 구조, 글로벌 확장성을 갖춘 인프라를 함께 준비해 기술·제도·신뢰 균형을 갖춘 지속가능한 핀테크 모델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시도는 최근 급물살을 타고 있다. 국회에서는 28일 안도걸(더불어민주당)·김은혜(국민의힘) 의원이 동시에 '원화 스테이블 코인'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두 법안 모두 스테이블 코인을 국가 통화질서와 혁신 금융체계 일부로 제도화하는 포괄적 제정 법률안이다.

안도걸 의원은 “대한민국 통화 주권과 디지털 경제의 미래를 지켜낼 제도적 장치로서 가치안정형 디지털 자산의 발행 및 유통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면서 “이번 법안은 스테이블 코인을 국가 통화 질서와 새로운 금융 플랫폼 한축으로 수용하고, 디지털 통화 시대에 걸맞는 관리 체계를 국내 최초로 정립하는 포괄적인 제정 법률”이라고 배경을 밝혔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

Read Entire Article